지난달 정부가 주파수 우선 할당 등을 내걸며 제4이동통신사업자 진입 장벽을 대폭 낮춰놨지만 자금력이 부족한 군소업체들만 출사표를 던지고 있다. 초기 자본금이 막대한 데다 통신망 사업에 대한 기술 투자도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하는 통신사업 특성상 대기업들은 수익성을 담보할 수 없다며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달 28일 이동통신 3사(SKT, KT, LGU+)로 고착화된 국내 이동통신 시장에 새로운 경쟁을 불어넣기 위해 네 번째 사업자의 진입 장벽을 낮추기로 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정부는 새로운 업체에 원하는 주파수를 우선 할당하고 전국망 구축을 단계적으로 하도록 허용키로 했다. 혜택을 줘 시장 안착을 돕겠다는 것이다.
진입 장벽은 낮아졌지만 제4이통사 참여를 준비 중인 업체는 군소업체들뿐인 상황이다. 8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2010∼2014년 6차례 사업자 신청서를 냈다가 고배를 마신 KMI(한국모바일인터넷), 2차례 신청했다 탈락한 IST(인터넷스페이스타임), 전국 소상공인이 주축이 돼 결성한 우리텔레콤, 박성도 전 현대모비스 부사장이 이끄는 퀀텀모바일 등이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부는 앞서 “엄격한 심사를 거쳐 재정·기술적 능력이 있는 사업자가 있는 경우에 한해 진입을 허용할 것”이라고 못 박았다. 대기업이 참여한다면 탄탄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기존 이통사들과 통신요금 경쟁을 벌이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정작 대기업들의 반응은 부정적이다. 업계에서는 CJ와 태광그룹, 현대백화점, 현대차그룹 등이 거론되고 있지만 이들 기업은 직접 시장에 뛰어들기보다 통신사와의 제휴를 택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망 구축과 통신기술 개발·마케팅 등에 지속적으로 비용 투자를 해야 하지만 이미 포화상태에 이른 국내 이동통신 시장에서 수익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게 이유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제4 이통사 이번엔 출항할까… 정부 진입장벽 낮췄지만 자금 약한 군소업체만 눈독
입력 2015-06-09 0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