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가 서울∼세종 제2경부고속도로 건설을 다시 추진하면서 충북도가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난해 6·4 지방선거 당시 새누리당이 내놓은 지방공약이 충청권의 갈등을 부추기는 불씨가 되고 있는 것이다.
7일 충북도에 따르면 세종시는 지난달 27일 도에 중부고속도로 확장과 제2경부고속도로 동시 시행을 요청했다. 지난해 정부 예산에서 모두 빠진 두 사업을 양 시·도가 힘을 합쳐 함께 추진하자는 것이다.
제2경부고속도로는 경기도 구리와 서울, 용인, 안성, 천안과 세종시를 연결한다. 길이는 129.1㎞이고 왕복 6차로로 건설된다. 이 고속도로가 완공되면 경부와 중부고속도로 교통량이 16% 정도 줄어들고 서울에서 세종시까지는 51분이 걸린다.
이 고속도로는 2009년 타당성 조사를 거쳐 사업성이 충분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하지만 재원마련 방안을 놓고 수년째 공전하면서 토지보상비가 크게 늘어 현재 예상 사업비는 6조8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고속도로의 노선은 충북을 통과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충북을 경유하면 노선은 16.5㎞ 늘고 사업비는 1조원이 증가한다.
이 때문에 도는 제2경부고속도로 건설보다 중부고속도로 확장을 요구하고 있다. 기존의 왕복 2차선인 중부고속도로를 왕복 3차선으로 확장하면 제2경부고속도로를 만들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제2경부고속도로 건설이 추진된다면 대안으로 거론되던 중부고속도로 확장 사업은 백지화될 가능성이 크다.
내년도 정부예산 편성이 본격화되면서 양 시·도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충북도는 중부고속도로 호법분기점∼남이분기점 구간 확장을, 세종시는 제2경부고속도로 신설을 둘러싸고 다시 힘겨루기에 나서는 양상이다.
도는 중부고속도로 호법분기점∼남이분기점 구간 확장을 정부와 국회에 요구하고 있다. 도는 이 사업에 1조2000억원의 사업비가 필요하다고 보고 내년도 공사비 500억원을 정부 예산안에 편성해 달라고 요청했다. 중부고속도로 확장은 2008년 예비타당성 조사와 타당성 재조사를 마쳤다. 세종시도 제2경부고속도로 신설 사업을 정부 예산에 편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결국 양측의 갈등이 풀릴 기미가 보이지 않자 정부는 두 사업 모두 올해 예산에 편성하지 않았다.
충북도 관계자는 “실시설계가 마무리된 중부고속도로 확장 사업은 예산 반영 즉시 첫 삽을 뜰 수 있다”며 “제2경부고속도로 신설사업은 예비타당성 등의 절차를 거치다 보면 5∼6년 후에나 가능하다”고 말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
이번엔 고속도 싸고 세종시-충북 갈등
입력 2015-06-08 0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