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비상] 복지부- 관련 4개 지자체 실시간 정보 교환한다… ‘실무협의체’ 구성 안팎

입력 2015-06-08 03:54
메르스 확산 사태를 두고 서로를 비판했던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모처럼 한목소리를 냈다. 보건복지부와 서울시·경기도·충남도·대전시 등 4개 지자체가 실무협의체를 구성하고 실시간 정보를 교환키로 합의했다.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은 7일 최경환 국무총리 직무대행이 주재한 긴급 기자회견에서 “최근 특정 지자체에서 협력 강화 말씀을 하셨는데 (정부가) 이를 받아들이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적극 협력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불과 하루 전까지만 해도 여러 지자체들과 환자 정보 공개 여부 등을 두고 실랑이를 벌이던 것에 비하면 전향적인 발언이었다. 문 장관의 발언은 3시간 뒤 곧 현실이 됐다.

이날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는 ‘메르스 확산 방지를 위한 복지부장관·관련 지자체장 대책 발표’가 열렸다. 이 자리에는 박원순 서울시장, 남경필 경기도지사, 권선택 대전시장, 안희정 충남도지사가 참석했다. 이들은 “메르스 방지에 중앙·지방 정부가 따로 없다”며 협력을 약속했다.

복지부는 박 시장이 요청했던 메르스 확진판정 권한 이양을 받아들였다. 그동안 각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은 1차 검사만 한 뒤 질병관리본부 산하 국립보건연구원에서 시행하는 2차 검사 결과를 기다려야 했다. 문 장관은 “국립보건연구원과 연계해 각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에도 2차 시약을 배급해 확진 판정을 할 수 있도록 조치하겠다”며 “17개 시·도 기관 중 역량이 충분한 기관부터 시약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시장은 “이번 조치로 하루 60건 이상 확진 검사를 실시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현재 국립보건연구원 외에 5개 위탁기관에서도 각각 하루 100건 이상 확진 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지자체에도 판정 권한이 부여되면 대규모의 신속한 검사가 가능해지게 된다.

권 시장은 “지금까지는 중앙정부가 지자체를 협업자가 아닌 ‘도우미’ 정도로 생각했었다”며 “일사불란한 시스템 운영을 위해 오늘 4개 지자체와 중앙정부가 머리를 맞대 이제 협업 시스템이 가동되게 됐다”고 말했다.

남 지사는 격리병상 확보가 어려운 만큼 민간병원들의 협조를 구하기 위해 정부·정치권이 강력히 지원해주도록 요청했다. 안 지사도 “평택성모병원에서의 1차 감염에 대한 초동 관리가 잘못돼 삼성서울병원까지 피해가 이르게 됐다”며 “적극 대응키로 한 정부의 입장 변화에 대해 국민 여러분이 신뢰를 보내 달라”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