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안전처가 ‘메르스 사태’에서 정부의 재난안전 컨트롤타워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감염 지역이 확산되는데도 손을 놓고 있다가 첫 환자가 확인되고 14일이 지나서야 보건 당국을 지원하는 ‘범정부 메르스 대책 지원본부’를 가동했다.
지난 6일에는 국민들에게 긴급재난 문자(사진)를 발송했지만 이미 언론 등에 수차례 보도된 예방수칙을 전달하는 정도에 그쳐 너무 안이하다는 비판을 자초했다.
안전처가 6일 낮 12시쯤 발송한 문자에는 ‘자주 손 씻기, 기침·재채기 시 입과 코 가리기, 발열·호흡기 증상자 접촉 피하기’ 등 간단한 예방수칙이 적혀 있었다.
문자메시지를 받아 본 김모(47·여·서울 서대문구)씨는 “국민들이 불안에 떨기 시작한 게 언제인데 이제야 이런 뻔한 내용을 ‘긴급’ 내용이라며 보내다니 코미디가 따로 없다”며 “정부가 너무 소극적으로 대응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안전처는 행정자치부와 6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메르스 확산 방지를 위한 전국 17개 시·도 부단체장 긴급회의를 열었지만 대책 지원본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협력과 예방수칙 홍보를 강화하자는 등의 원론적 내용 외에는 뾰족한 대책을 내놓지 못했다.
지자체와 정치권에서 3차 감염자가 속출하고 있어 전염병 경고 수준을 ‘경계’ 수준으로 높여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을 주문하고 있지만 정부는 외면하고 있다. 신종 감염병이 처음 유입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면 위기 단계를 ‘주의’에서 ‘경계’로 올리게 돼 있다. 정 부는 그러나 현재의 메르스 유행이 ‘100% 병원 내 감염이며 지역사회 확산은 아니다’는 이유로 ‘주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관련기사 보기]
[메르스 비상] 코미디도 아니고 ‘뒷북 긴급재난문자’… 국민안전처 예방수칙 발송 비난 쇄도
입력 2015-06-08 0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