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메르스와 전쟁 어떻게 보건소 직원이 1500여명 1대 1 전담 관리

입력 2015-06-06 03:03
서울시가 메르스와의 전면전에 나섰다.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의사 A씨(38)가 접촉한 1500여명에 대해 1명당 보건소 직원 1명을 지정해 전담 관리하는 등 총력체계를 구축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5일 메르스대책회의에서 “서울시가 메르스와의 싸움에서 전면에 나선 이상 신속하고도 단호한 자세로 조치를 취하려 한다. 이건 전쟁 아닌 전쟁”이라고 말했다. 박 시장은 11일부터 21일까지 예정됐던 유럽 출장 일정을 취소하고 메르스 방역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메르스대책본부장을 시장으로 격상시켰다.

시는 A씨가 메르스 감염 확진판정 전 참석했던 재건축조합 총회 참석자 1565명 모두에게 문자메시지로 자가 격리를 안내했다. 서울 강남구는 재건축조합 총회가 열린 장소의 CCTV 화면을 확보해 분석 중이다. 구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특별관리가 필요한 밀접 접촉자와 능동감시 대상자를 구분해 관리할 계획이다.

시는 전화 통화가 된 사람들은 5일부터 보건소를 통해 실제 자가 격리가 이뤄지고 있는지 일대일 모니터링을 시작했다. 격리 기간은 메르스 감염 의사와 접촉한 것으로 추정되는 지난달 30일로부터 14일간이다. 다만 총회 참석자 중 메르스 의심 증상이 있다고 보고된 사람은 아직 없어 가족들까지 격리하는 것은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시는 설명했다. 또 A씨가 지난달 30일 병원 대강당에서 참석했던 심포지엄 등록자 명단을 확보해 접촉자를 이날 자가 격리 조치했다. 서울 중구 의회의 팀장급 공무원이 메르스 1차 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는 메르스 확산을 막기 위해 열차 등 지하철 시설물 소독을 강화하기로 했다. 우선 열차 내부 소독 횟수를 주 1회에서 주 2회로 늘리고 열차 내 의자와 손잡이, 에스컬레이터 손잡이 등 승객과 직접 닿는 부분은 매일 소독할 방침이다. 서울개인택시조합도 6일부터 5일간 서울 시내 전체 개인택시 5만대를 대상으로 긴급 방역을 실시한다.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자 서울시교육청은 A씨의 동선이 집중된 서울 강남지역의 유치원과 초·중·고교 등에 월요일(6월 8일) 일괄 휴업 조치를 내릴 예정이다.

시교육청은 5일 학생 감염병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주말 동안 메르스 확산 추이를 지켜본 뒤 7일 일괄 휴업 등을 최종 결정키로 했다. 또 서울시내 학교, 지역교육청, 직속기관에 집단 단체활동 중단을 강력 권고했다. 아울러 교육청 자체 예산으로 위생용품(손세척제, 마스크, 체온계, 발열체크기 등)을 구입해 학교별로 즉각 지급하기로 했다.

김재중 김찬희 기자 jjkim@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