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확산 비상] 조율? 은폐?… 확진 환자 자로 잰 듯 매일 5∼7명씩 증가

입력 2015-06-06 02:58

682명, 791명, 1364명, 1667명, 1820명. 보건당국이 지난 1일부터 매일 발표한 메르스 격리대상자 숫자다. 하루에 적게는 100명, 많게는 500명 가까이 늘었다. 그러나 같은 기간 확진환자는 18명, 25명, 30명, 35명, 41명이었다. 자로 잰 듯 매일 5∼7명씩 일정하게 증가했다.

이를 두고 보건 당국이 환자 발생 상황을 ‘조율’하거나 관련 정보를 은폐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나오고 있다. 복지부가 5일 그간 발표한 환자 발생 정보 중 일부 오류를 시인하면서 정확한 정보 공개를 요구하는 목소리는 더 커졌다.

35번 환자가 대표적 사례다. 보건 당국은 지난 1일 서울 D병원 의사인 35번 환자의 양성 판정을 확인했다. 이후 2일 서울 모 병원으로 환자를 일단 이송해 격리했다. 그러나 양성 판정 후 사흘이 지난 4일에야 이 환자의 확진 사실을 발표했다. 보건 당국은 이 환자를 밀접 접촉자 그룹에 포함하지도 않았다. 14번 환자와 2m 이내의 근접 거리에서 노출될 만한 상황이 아니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사실상 35번 환자를 방치한 셈이다.

권준욱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총괄반장은 5일 브리핑에서 “양성 판정을 발표하는 과정에서 35번 환자에 대한 조치가 취해져 재검이 필요하다는 판단을 내부적으로 했는데, 이후 필요가 없다고 판단해 발표가 늦어졌다”는 장황한 해명을 했지만, 여론을 의식해 확진환자 발표 시기를 조정한다는 의구심을 해소하지 못했다.

현재 메르스 확진은 시·도 보건환경연구원과 3개 검역소, 국립보건연구원에서 유전자 검사를 통해 이뤄지고 있다. 의심 사례가 접수되면 객담(가래)이나 침 등을 채취한다. 한 명당 확진 판정에 보통 7∼8시간 걸린다. 국립보건연구원에서 양성임을 확인하면 결과가 복지부에 통보되고, 복지부는 역학조사 과정을 검토한 뒤 언론에 발표하는 형태다.

박세환 기자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