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와 서울시가 정면으로 충돌했다. 문형표 복지부 장관은 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를 겨냥해 “심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 장관은 “그동안 메르스 확산 방지를 위한 정부의 조치가 마치 잘못된 것처럼 서울시가 일방적으로 입장을 발표해 불필요한 오해와 우려를 불러일으켰다”고 덧붙였다. 전날 밤 박원순 서울시장이 긴급 브리핑을 통해 “메르스 확산 방지에 직접 나서겠다”고 선언한 데 대한 반박이다.
가장 큰 쟁점은 서울 D대형병원 의사인 35번 감염자의 정보를 주고받았느냐다. 서울시는 정보를 받지 못했다고 했고, 복지부는 전달했다고 말한다. 문 장관은 “지난달 31일 35번 감염자에 대한 역학조사를 신속히 실시하고, 그 결과를 서울시 역학조사관 등과 SNS를 통해 실시간 공유했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전날 “담당 국장에게 유선으로 연락을 취했으나 연결이 어려웠고, 복지부는 35번 감염자에 대한 정확한 정보도 갖고 있지 않았다”고 했었다.
서울시는 35번 감염자가 지난달 29일부터 증상이 나타났으며, 30일 재건축조합 총회에 참석했다고 공개했다. 이어 “총회 참석자 1565명 명단을 요청했으나 복지부가 이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었다”고 했다. 복지부는 “해당 협회 쪽에서 자료 제출을 거절, 경찰을 통해 자료를 확보하려 했다”고 설명했다.
양측은 재건축조합 총회에 참석한 1565명의 위험도도 다르게 본다. 복지부는 어느 정도 밀접한 접촉이 있었느냐를 따져 선별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밀접 접촉자는 격리나 모니터링을 하고, 35번 감염자와 멀리 떨어져 있던 사람은 ‘주의’만 촉구하겠다는 것이다. 박 시장은 “이 수준의 미온적 조치로는 시민 안전을 지킬 수 없다. 모두에게 자택에 머물러줄 것을 요청할 것”이라고 했다.
35번 감염자는 언론 인터뷰에서 “메르스 증상이 시작된 것은 재건축조합 총회에 참석한 이후인 31일이며, 29일 나타난 증상은 중학교 때부터 앓아온 알레르기 비염 증세와 다르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30일 오전 병원 내 심포지엄 때는 사람이 없는 구석에 앉아 있다 조용히 나왔고, 31일 심포지엄에는 가지 않았다”고 했다.
복지부는 “우리 역학조사 과정에서 29일과 30일의 증상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해 노출 경로를 확인했었다”고 말했다. 보건 당국은 서울 D병원에서 35번 감염자와 밀접 접촉한 49명, 그의 가족 3명에 대해 자택격리와 모니터링을 실시 중이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
[관련기사 보기]
[메르스 확산 비상] 이 와중에 진실공방 ‘혼란 가중’… 서울시-복지부-‘35번’ 감염의사 엇갈린 주장
입력 2015-06-06 0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