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差 키우는 성과급, 기업 성과와 무관”… 노동연구원 분석

입력 2015-06-06 02:14

성과에 따라 임금 격차를 두는 성과급제보다는 근로자 복지를 중시하는 성과배분제, 현금배당 등의 제도가 기업 성과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온다는 분석이 나왔다. 임금 격차 자체보다는 임금 제도 전반에 대한 이해당사자들의 이해와 인식 등이 중요하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한국노동연구원은 5일 ‘한국의 임금 연구 요약 및 시사점’이라는 제목의 임금정보 브리핑에서 “기업의 임금 제도 변화는 개개인의 직무 만족도나 조직 헌신감 등의 조직 태도에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같이 밝혔다.

기존 연구를 종합해본 결과 최근 많은 업체가 도입하고 있는 성과급제의 경우 기업 성과와 직접적인 연관을 갖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오계택 부연구위원은 “성과급제가 중시하는 임금 격차의 효과는 기업 실적 등에 있어 직접적인 연관성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면서 “임금 격차 자체가 아니라 임금 제도가 운영되는 제도적인 맥락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임금 수준이나 임금 격차를 발생시키는 요인에 대해 직접 이해당사자인 근로자 등이 얼마나 이해하고 받아들이는지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정년연장과 관련 있는 임금피크제 역시 제도 자체뿐 아니라 직급체계, 직무관리 등과 같은 조직관리 차원의 검토가 동시에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반면 기업의 근로자 복지에 초점을 맞춘 제도는 근로자 개인과 기업 성과 모두에 미치는 영향이 높았다. 오 부연구위원은 “특히 우리사주제도와 같은 성과배분제 도입은 구성원들의 동기 부여를 높이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된다”면서 “근로자에 대한 현금배당금과 주식상여제도는 모두 기업의 재무적 성과를 높이고 있었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 6월 기준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시간당 임금 격차가 대기업일수록 크다는 분석도 나왔다. 고용노동부의 ‘2014년도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에 따르면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의 임금 수준은 5인 미만 규모 기업에서 80.6%로 가장 높았지만 기업 규모가 커질수록 낮아져 300인 이상 규모에서 64.2%로 가장 낮았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