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4일 메르스 확산 문제와 관련해 각각 대책 특위를 가동하고 긴급 전문가 간담회를 여는 등 대책 마련에 부심했다. 여야 가릴 것 없이 국가비상상황을 맞았다고 판단, 사태 수습에 총력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추가 확산이 없도록 감염 고리를 확실히 끊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인터넷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괴담꾼의 놀이터가 되지 않도록 하려면 정부가 모든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해야 한다”고 했다.
김 대표는 ‘메르스 비상대책특위’의 긴급 전문가 간담회 이후 기자들과 만나 “당분간 메르스, 메르스…. 다른 것은 얘기할 것 없다”고 했다. 일각에선 당 지도부가 국회법 개정안 논란으로 집안싸움이 벌어진 상황에서 메르스 사태를 계기로 돌파구를 마련하려는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왔다.
간담회에 참석한 특위 소속 의원들은 병원 이름 등 정보가 공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이재갑 교수는 “만약 병원 이름이 공개돼 환자들이 더 공포감을 가지고 내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면서 “병원 이름을 공개하는 것은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초당적 협력을 강조하면서도 초기 대응에 실패한 정부와 박근혜 대통령의 ‘안일한 대처’를 거듭 질타했다.
문재인 대표는 국회 의원회관에서 ‘잘가라 노후원전’이라는 주제로 열린 행사에 참석, “세월호 참사 때와 마찬가지로 무능하고 부실하기 짝이 없다”면서 정부 대응을 비판했다. 2003년 참여정부 당시 사스(SARS)가 번졌을 때 빈틈없는 방역체계를 구축했다면서 “그 경험을 되살려 대통령이 직접 나서 중심을 잡아야 한다”고도 했다.
문 대표는 5일 경기도를 방문해 초당적 행보에 나선다. 문 대표는 경기도청에서 새누리당 소속 남경필 지사, 이재정 경기도교육감 등과 함께 메르스 현장대책회의에 참석해 경기도 내 메르스 감염 사태를 점검한 뒤 중앙정부에 요구할 사항들을 논의할 방침이다.
추미애 메르스대책특위 위원장은 “세월호 참사 때도 대통령은 보이지 않더니 메르스로 인한 국가 비상사태에서도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강동원 의원은 감염자가 300만명 수준일 때 중앙대책본부를 가동하겠다는 국민안전처의 입장에 대해 “치사율이 8%라고 하면 24만명이 죽어야 중대본을 구성하겠다는거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김태년 의원은 각급학교의 휴업 상황과 관련, “교육부가 휴업하겠다고 하니까 보건복지부는 옳지 않다고 한다”며 “이건 정부도 아니다”고 지적했다.
김경택 문동성 기자
ptyx@kmib.co.kr
[관련기사 보기]
[메르스 확산 비상] 여야 “국가비상상황” 대책 마련 부심
입력 2015-06-05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