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확산 비상] 메르스 격리 1300여명… ‘전용 병원’ 추진

입력 2015-06-04 04:00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격리 대상자가 1300명을 넘어선 가운데 최악의 경우 통제불능 사태가 초래될 수도 있을 것으로 예견됨에 따라 정부가 ‘메르스 전용 병원’ 지정을 검토 중이다. 메르스 환자는 5명이 더 늘어 30명(사망 2명 포함)이 됐다. 추가된 5명 중 1명은 3차 감염자다. 격리된 사람은 1364명으로 늘었다. 그중 교사·학생이 300명에 이른다.

정부 발표와 별도로 경기도 공군기지 부사관과 서울의 대형병원 의사가 1차 유전자 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당국은 최종 확진을 위해 2차 검사를 진행 중이다.

권준욱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기획총괄반장(보건복지부 국장)은 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최악의 경우에 대비해 국공립병원 건물 하나를 모두 비워 메르스 환자만 돌보도록 하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른 환자는 모두 내보낸 뒤 의료진이 완벽한 보호장비를 갖추고 진료하게 될 것”이라며 “환자 수가 전국 음압(陰壓)병상의 수용 능력(105곳)을 초과하는 비상상황에 대비한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관리대책본부는 이날 추가된 확진환자 5명 가운데 30번째 환자인 60세 남성이 16번째 환자 P씨(40)에게서 감염된 3차 감염자라고 밝혔다. 두 사람은 지난달 25∼27일 같은 병실을 썼다. 보건 당국은 해당 병원에 대해 환자와 의료진 39명을 메르스 잠복기(14일) 동안 밖으로 나오지 못하게 하는 ‘코호트 격리’를 실시하기로 했다. 코호트 격리 조치를 취한 병원은 3곳이다.

관리대책본부는 그동안 메르스 환자가 증상이 나타난 상태에서 방문한 의료기관이 병원 11곳, 의원 3곳 등 총 14곳이라고 전했다. 병원 이름 공개에 대해서는 “여러 불안정과 공포를 일으킬 수 있다”며 불가 입장을 재확인했다. 격리자 가운데 1261명은 자택에, 103명은 병원 등 기관에 격리돼 있다. 이날까지 격리가 해제된 사람은 52명이다.

청와대는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민관합동 긴급점검회의를 열고 정부와 민간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메르스 종합대응 태스크포스(TF)’와 ‘범정부 메르스 대책지원본부’를 가동키로 했다. TF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한다. 의심·확진환자를 체계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지역별 거점중심병원을 지정해 운영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키로 했다. 박 대통령은 “그동안 (메르스와 관련한) 여러 문제점들에 대해, 또 국민 불안 속에서 어떻게 확실하게 대처 방안을 마련할지 정부가 밝혀야 한다”고 지시했다. 이어 “전문 TF를 통해 문제점의 진원지, 발생 경로를 철저하게 분석해 국민에게 알려야 한다”고 관계 부처에 주문했다.

세종=권기석 기자, 남혁상 기자 keys@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