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3일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관련 대책회의를 처음 주재한 자리에서 확실한 대처 방안 마련을 주문했다. 박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주재한 메르스 대응 민관합동 긴급점검회의는 메르스 환자 사망 및 3차 감염자 발생 등 메르스 확산 사태로 국민의 불안과 우려가 커지고 있는 데다 초기 대응 실패 등 정부에 대한 비판 여론이 높아지는 가운데 열렸다.
◇박 대통령 “대응 문제점 점검, 대처 방안 적극 진단”=박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정부의 메르스 초기 대응의 문제점 점검, 향후 대처 방안 등을 확실하게 정하고 이를 국민에게 알릴 것을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지금부터 이번 메르스 대응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확실하게 점검하고 그 다음에 현재의 상황, 그리고 대처 방안에 대해 적극적이고 분명하게 진단을 한 뒤 그 내용을 국민께 알려야 한다”고 지시했다. 첫 메르스 환자 발생 이후 지금까지 소극적이고 지나치게 원칙적이었던 보건 당국의 초기 대응에 문제점이 있었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번 긴급회의 논의 주제에 대해선 “첫번째는 환자 치료와 처리 과정 및 감염 경로, 그 다음에 치료 의사들의 어떤 이동 방향 등에 대해 논의해야 한다”며 “또 그 이후에 접촉 환자의 진료기관, 또 진료의사 등 환자들의 이동 경로가 어떻게 되는가 하는 것을 파악해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종합대응 컨트롤타워 구성=박 대통령이 주재한 회의에서 정부는 메르스 확산방지·방역대응을 위한 민관 종합대응 태스크포스(TF), 범정부 메르스대책지원본부를 구성키로 했다. 정부부처와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TF는 사실상 메르스 대응 컨트롤타워다. 지역별 거점 중심병원 지정 검토, 확진환자 관련 의료기관 간 정보 공유, 관련 정보 공개 등의 결론도 내려졌다. 최원영 고용복지수석은 브리핑에서 “가장 많은 확진 환자가 발생한 의료기관에서 초기 감염확산 고리를 끊지 못한 것이 가장 뼈아픈 부분”이라며 “사례분석 결과를 다른 의료기관과 공유해 유사한 대응 실패가 없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공개할 수 있는 정보는 즉시 투명하게 공개하도록 해야 하며, 박 대통령도 이 점을 특히 강조했다”고 말했다.
◇청와대 늑장 대응 도마에 오르나=박 대통령이 회의를 주재한 것은 상황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만큼 박 대통령이 직접 관련 사안을 챙기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그러나 메르스 첫 감염 환자가 발생한 지 2주가 지난 뒤에야 종합대응 TF를 구성하는 등 청와대가 선제적으로 상황을 관리하지 않았다는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격리 대상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많아지고, 확인되지 않은 괴담이 확산되는데도 청와대가 직접 나서지 않고 주무 부처인 보건복지부에 관련 사항을 모두 일임하는 모습을 보였다. 박 대통령 역시 그동안 관련 회의 주재 또는 질병관리본부 방문 등의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일각에선 청와대가 국회법 개정안 대응에 ‘올인’하느라 국민들의 가장 큰 관심사인 메르스 대응에 ‘실기(失期)’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관련기사 보기]
[메르스 확산 비상] 靑 ‘늑장대응’ 논란 속 직접 챙기기 나섰다
입력 2015-06-04 0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