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 장관 밤 후보’ 생활 끝?… 황교안, 통의동 사무실 출근

입력 2015-06-04 02:57
황교안 국무총리 후보자가 청문회를 5일 앞둔 3일 오전 처음으로 후보자 사무실로 출근했다. 현직 법무부 장관 신분으로 국무총리 후보자로 지명된 그는 오전엔 정부과천청사로 출근한 뒤 오후에 후보자 사무실로 나오는 ‘낮 장관, 밤 후보자’ 생활을 그동안 해왔다. 야당은 황 후보자의 위증 및 편법 변론 의혹에 대한 집중 공세를 이어갔다.

황 후보자는 3일 오전 8시50분쯤 서울 종로구 통의동 후보자 사무실로 출근했다. 그는 ‘총리가 되면 악화된 당청 관계를 어떻게 만들겠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여러분들과 함께 최선을 다하는 게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오는 8∼10일 사흘간 청문회를 하게 된 데 대해서는 “국민이 원하는 방향으로 청문회가 설계된 게 아닌가 생각하고 준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답했다. 이완구 전 총리의 경우 이틀간 청문회가 진행됐었다.

법무부 장관 청문회 당시 위증 논란에 대해서는 “그런 일 없다”고 짧게 답했다. 그는 당시 변호사 시절 전체 수임 사건을 101건이라고 밝혔지만 이번에 법조윤리협의회가 제출한 자료엔 119건으로 나타나 위증 논란이 불거졌다.

법무부 장관 업무 공백 우려에 대해서는 “필요한 일들은 직원들이 오가면서 적절한 방법으로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제 전문성 부족 등 자신을 둘러싼 여러 논란에 대해선 여러 차례 “청문회에서 답하겠다”며 즉답을 피했다.

황 후보자는 “국민에게 말할 수 있는 정식 자리가 있는 만큼 지금 단편적으로 말하는 것에 대해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야당은 이틀째 공세 수위를 높였다. 앞선 2일 정의당에 이어 새정치민주연합 인사청문특위 간사인 우원식 의원도 3일 “황 후보자가 국내 모 기업 회장 횡령 재판을 수임하면서 선임계는 제출하지 않은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전관예우와 탈세 등을 목적으로 고위 법조인 출신 변호사들 사이에서 암묵적으로 행해지던 ‘전화 변론’이 아니냐는 것이다. 이어 이 역시 법무부 장관 청문회의 위증 혐의에 포함된다고 강조했다.

우 의원은 또 “법조윤리협의회가 삭제한 황 후보자의 수임내역 19건 역시 후보자의 위증과 관련 있는 게 아닌지 의심된다”며 “추가 자료를 제출하지 않는다면 법에 따라 문서검증을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법조윤리협의회는 지난달 31일 국회에 약 70페이지 분량의 황 후보자 변호사 시절 사건 수임내역을 제출하며 전체 119건 가운데 19건의 내용을 ‘공란’으로 제출했다. 야당은 삭제 사유를 법조윤리협의회에 요청한 상태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