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확산 비상] “예방에 도움” vs “공포감 등 부작용”… 병원명 일반공개 논란 계속

입력 2015-06-03 02:12

메르스 사망자가 발생하자 관련 병원과 지역을 공개하라는 목소리가 더 커졌지만 보건 당국은 ‘비공개’ 방침을 고수했다. 의료계에선 병원을 공개할 경우 메르스 의심 환자란 이유로 치료받지 못하는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은 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병원명 비공개로 인한 고민의 많은 부분은 근거가 없다”며 “메르스는 밀접 접촉을 통해 감염되기 때문에 어떤 환자가 해당 병원에 있었다고 해서 그 병원에 가면 안 된다고 하는 것은 지나친 우려”라고 말했다.

복지부는 메르스 관련 지역과 병원을 밝히면 근처 주민을 중심으로 공포가 커질 수 있고, 해당 병원이 낙인이 찍히는 등의 피해가 생긴다는 입장이다. 메르스 환자를 신고해야 할 병원들이 경영상 피해를 피하려고 이를 숨길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 감염내과 교수는 “메르스 환자가 치료 기회를 박탈당할 수 있어 일반 국민에게까지 병원명을 공개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반론도 만만치 않다. 메르스가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만큼 발병 병원을 알려 지역사회가 적극적으로 예방 대책을 세우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인터넷과 SNS를 통해 출처가 불명확한 병원명이 나돌고 있는 만큼 투명한 정보 공개가 오히려 국민 불안감 해소에 도움이 되리란 주장도 나온다.

외국의 공개 압박도 무시할 수 없다. 한국인 6명을 포함해 19명의 메르스 감염 의심자를 격리한 홍콩은 한국 정부에 발병 병원 명단을 요구해 자국민에 공개하는 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복지부 관계자는 “병원명을 공개하는 대신 각 병원 의료진에게 데이터베이스로 된 의심 환자 정보를 제공해 더 빠르게 진단하고 검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종=박세환 기자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