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PP(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타결이 임박하면서 미국과 일본의 일부 전자 기업들이 해외 생산기지를 본국으로 옮기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등 전자업계의 판도가 변화할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코트라는 2일 발표한 ‘TPP 협상이 전자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전자업계가 TPP 타결에 대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TPP에 따라 일부 제품의 관세 면제, 진출국 인건비 상승, 지재권 침해 등 다양한 통상·시장 환경의 변화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특히 중국 인도 태국 등 그동안 대표적인 글로벌 생산기지 역할을 해 왔던 국가에서 인건비 상승, 지재권 침해, 과다한 유통비용 등 문제로 생산성이 저하되며 투자처로서 매력을 잃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 전자산업의 최대 교역국인 중국에서도 일부 외투기업들이 공장을 철수하는 사례가 빈번해 향후 동향을 주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반면 TPP에 참여 중인 베트남과 멕시코는 TPP 타결에 따른 수혜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양국 정부는 이미 “글로벌 생산거점이 될 수 있도록 적극적 투자유치 정책을 마련할 것”이라며 TPP를 환영하는 분위기다. TPP 이후 글로벌 전자산업의 주요 생산지인 두 국가로의 투자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미국과 일본의 일부 기업은 자국으로 생산기지를 옮겨 고품질 생산 전략을 취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보고서는 본국으로 다시 공장을 옮기려는 미국 일본 전자기업은 우리나라 소재부품 수출의 새로운 시장으로 떠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또 국내 전자업계는 한국의 TPP 참여 여부에 따른 경쟁여건 변화를 면밀히 분석해 미국과 일본의 주요 기업으로 소재부품 수출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양은영 코트라 통상지원총괄팀장은 “우리 전자업계 역시 글로벌 생산체제 재편 움직임 속에서 전략적 포지셔닝이 필요하다”며 “글로벌 전자업계의 움직임을 파악해 진출국 내수시장과 주변국 시장으로의 수출시장 다변화, 공급망 재배치, 한류열풍 활용 등 전략을 통해 TPP 역내 생산체제에서 배제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TPP 타결 앞두고 美·日업체 자국 U턴 움직임… 전자 생산기지 지도가 바뀐다
입력 2015-06-03 0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