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와 해운대구는 해경 해체 이후 안전관리 인력이 절반으로 줄어든 해수욕장에 ‘드론(Drone·무인항공기)’을 띄워 피서객 안전 확보에 나선다.
시는 다음 달 중순 해운대해수욕장에 드론을 띄워 독성 해파리 출현과 이안류(역파도) 발생 등을 사전에 파악해 피서객들에게 통보키로 했다고 2일 밝혔다. 이는 부산시가 미래부의 글로벌 스마트시티 실증사업에 선정돼 추진하는 것이다. 시는 드론사업 등을 위해 68억원의 예산을 확보했다.
시는 우선 드론 2대를 구입해 해운대해수욕장에서 시범 운영한 뒤 내년부터 부산지역 전체 해수욕장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드론은 용도와 기능 등 구성품에 따라 대당 2000만∼2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국토교통부는 최근 항공법을 적용해 인구밀집지역 또는 사람이 많이 모인 곳의 상공에 드론 비행을 불허한다는 방침을 내놨다. 이에 따라 시는 국토교통부와도 협의를 하고 있다.
협의가 끝나면 시와 해운대구는 해운대해수욕장 백사장 좌우에 드론을 각각 배치해 운영하면서 피서객들의 안전을 확보할 방침이다.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안전요원 줄인 해운대해수욕장 ‘드론’ 띄운다… 내년 부산 전 해수욕장 확대
입력 2015-06-03 0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