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법 개정’ 충돌] ‘불끄기’ 나선 김무성 대표… 유승민 원내대표 엄호

입력 2015-06-03 02:57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운데)가 2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통일경제교실’에 참석한 뒤 입을 굳게 다문 채 행사장을 빠져나가고 있다. 이동희 기자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국회법 개정안 위헌성 논란으로 촉발된 당청 및 계파 갈등 진화에 부심하고 있다. 개정안은 강제성이 없다며 대야(對野) 투쟁으로 당내 관심을 돌리고, “책임공방을 벌일 때가 아니다”며 유승민 원내대표도 옹호했다.

김 대표는 유 원내대표 주재로 열린 원내대책회의장을 직접 찾아가 의원들을 다독였다. 김 대표는 “서로 싸우지 말고 잘해보자. 책임론 같은 건 제기하자 말자”며 “강제성이 있다고 주장하는 건 야당이고 스스로 위헌을 얘기하는 것”이라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고 한다.

김 대표는 회의장 밖에서 기자들을 만나 “상당히 애민한 상황이라 회의에 참석해 의견을 이야기했다”며 “이 문제는 당내 갈등이나 당청 갈등으로 가서는 안 되는 일”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국회법 개정안 조항에) 우리 당은 강제성이 없다는 전제 하에 일을 진행시킨 것이고, 야당은 강제성이 있다는 전제로 진행한 것”이라며 “우리끼리 싸울 이유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헌법학자를 불러서 상의를 해보려 하지만 보나마나 반반으로 갈린다”며 “강제성이 있다는 결론이 나오면 위헌 소지가 있는 것인데, 그 판결을 어떻게 받느냐 하는 것을 연구 중에 있다”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유 원내대표 책임론에 대해서도 “의원총회에서 모든 정보를 공개했고, 최고위원회의에서도 내용을 갖고 다 상의한 결과”라며 “특수한 상황에서 벌어진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회법 개정안은) 유 원내대표가 제안한 게 아니라 야당에서 제안한 것”이라며 “야당 합의가 없으면 아무것도 안 된다”고 말했다.

서청원 최고위원 등 친박(친박근혜)계 의원들이 원내지도부의 협상력 부재 등을 언급하며 사퇴론까지 제기하는 것을 반박하고 유 원내대표를 감싸 안은 셈이다. 김 대표는 ‘통일경제교실’ 참석 후에도 “이 문제는 우리 모두가 같이 고민해야 되는 문제이지 지금 책임공방을 벌일 때가 아니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 대표 발언 이후에도 친박 의원들을 중심으로 “유 원내대표가 현 상황에 대해 해명을 해야 한다”며 사실상 사과를 요구하는 등 책임론이 거듭 제기됐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