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판 중인 농후발효유에 함유된 당류가 제품에 따라 최대 3.8배 차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대형마트 등에서 판매 중인 대표 농후발효유 제품 14개의 영양 성분을 분석한 결과 1회 제공량(150㎖)당 당류가 5.79∼21.95g으로 나타냈다고 2일 밝혔다. 농후발효유는 일반 발효유에 비해 유산균 수가 10배 정도 더 많이 첨가된 제품이다.
14개 제품의 평균 당류 함량은 14.52g으로 세계보건기구(WHO)의 하루 섭취권고량(50g)의 29%에 달했다. 가장 많은 당류가 함유된 제품은 서울우유협동조합의 ‘블루베리의 상큼함이 살아있는 요구르트’로 이마트 PB(자체 브랜드) 제품인 ‘진심을 담은 플레인 요구르트’보다 당류 함량이 3.8배 더 많았다. 서울우유협동조합 제품은 콜라 한 컵(200㎖)에 담긴 당류(22.30g)와 비슷할 정도로 당류 함량이 많았다. 반면 이마트 PB 제품의 당류 함량은 우유의 유당 함량과 비슷한 정도였다.
조사 대상 중 3개 제품은 함량 표시가 축산물 표시기준에 부적합했다. 런(신앙촌식품), 헬리코박터 프로젝트 윌(한국야쿠르트)은 콜레스테롤 함량 표시가 부적합했고 플레인 요거트(홈플러스 PB)는 열량·지방·포화지방 함량 표시가 기준에 맞지 않았다. 신앙촌식품 제품은 특정유산균 함유균수도 표시되지 않았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당류 함유가 높은 상위 4개 제품의 평균 함유량은 20.11g으로 섭취 권고량의 40% 수준”이라며 “이들 제품 2개를 섭취하면 약 80%로 당류 과다 섭취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농후발효유 당 함량 최대 3.8배 差… 소비자원 14개 제품 분석
입력 2015-06-03 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