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메르스 의심 첫 사망자 발생, 방역 끈 더 죄야

입력 2015-06-02 00:02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공포가 갈수록 확산되고 있다. 격리환자 수가 682명으로 폭증한 데다 메르스 첫 감염자와 접촉한 50대 여성이 사망해 보건 당국이 정확한 사망원인 파악에 나섰다. 메르스 의심 환자로는 첫 사망자가 나옴에 따라 보건 당국은 비상이 걸렸다.

당국은 사망자의 검체를 수거해 정밀 역학조사를 벌이고 있는 등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으나 국민들의 불안감은 가중되고 있다. 특히 이날까지 확진 판정을 받은 18명 가운데 5명은 상태가 위중한 것으로 알려져 사망환자가 더 나올 가능성이 높다.

우려했던 사망자까지 발생하면서 메르스 공포는 걷잡을 수 없이 퍼지고 있다. 여기에 메르스 괴담까지 인터넷 등을 통해 널리 유포돼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메르스 최대 잠복기가 2주라는 점을 고려할 때 최초 감염자가 격리된 이후 2주가 되는 이번 주 중반이 고비다. 이런 시기에 사망자가 발생함으로써 보건 당국을 더욱 긴장시키고 있다.

메르스 파문이 커지면서 당국의 무능과 부실, 늑장대응에 대한 질타가 잇따르고 있다. 초동 단계에서부터 제대로 된 대응을 했더라면 이 같은 국민 불안은 초래하지 않았을 것이란 목소리가 높다. 사태가 마무리된 후 엄중한 책임을 물어야 할 것이다.

문제는 3차 감염만은 막아야 된다는 점이다. 보건 당국은 방역체계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 역학조사도 원점에서부터 다시 시작해야겠다. 특히 2차 감염자 가운데 절반이 넘는 8명이 정부 격리 대상에서 빠져 있었던 만큼 이들이 일상생활에서 많은 사람들과 접촉했다는 데 유의해야 한다. 국민들도 성숙한 시민의식을 발휘해야 한다. 당국의 요구가 있으면 적극적으로 협조하는 한편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퍼뜨리는 행위를 삼가야겠다. 보건 당국은 지금부터라도 민관합동 대책반을 모두 가동해 총력 방역대책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겠다.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