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과거사 문제의 바람직한 해결을 통해 (한·일) 양국 관계를 보다 건강한 바탕 위에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다”고 말했다. 과거사 해결 없이는 한·일 정상회담은 하지 않겠다는 간접 언급이자, 안보·경제 현안과 역사 문제를 분리하는 대일(對日) 투트랙 외교기조를 확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박 대통령은 1일 청와대에서 이홍구 전 총리와 모리 요시로(森喜朗) 전 일본 총리 등 ‘한·일 현인(賢人)회의’ 소속 원로들을 접견한 자리에서 “일본 정부가 무라야마·고노 담화 등의 역사인식을 명확히 밝히는 게 양국 관계개선에 매우 중요하다. 앞으로 8·15담화(아베 담화) 등의 기회를 잘 살려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지난주에 또 한 분의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가 돌아가셔서 이제 52명만 남았다. 일본 측의 용기 있는 결단을 기대한다”고 했다.
한·일 원로들은 양국 정상에게 조속히 정상회담이 개최될 수 있도록 결단을 촉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와무라 다케오(河村建夫) 전 일본 관방장관은 박 대통령 접견 뒤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박 대통령이 조속히 한·일 정상회담을 개최하려고 노력하는 뜻을 느꼈다”고 했다. 유명환 전 외교부 장관은 “(오늘 예방에서) 이것을 위해 양국 지도부의 큰 결단이 필요하다”고 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朴 “과거사 해결 통해 韓·日 관계 발전 가능”… ‘한·일 현인회의’ 대표단 접견
입력 2015-06-02 0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