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銀 가계대출 11조3000억 사상 최대… 고금리 불구 1년새 26% 급증

입력 2015-06-02 02:04
시중은행보다 금리가 높은 저축은행 가계대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용자가 일반 은행에서 대출받기 어려운 저신용자가 많은 상황이어서 기준금리가 올라가면 타격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3월 말 현재 상호저축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11조3093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26.1%(2조3381억원)나 증가했다. 2012년부터 지난해 중반까지 8조∼9조원이던 가계대출은 지난해 7월 이후 급증하기 시작했다.

저축은행 가계대출 증가는 대부업 계열 저축은행들이 공격적 마케팅을 편 영향이 크다. 지난해 11월 문을 연 웰컴저축은행과 OK저축은행은 기존 대부업 우량 고객 전환을 유도하는 한편, 높은 예금금리를 주고 빠른 대출을 강조하며 고객 확장에 적극 나서고 있다.

당국은 당초 대부업계에 저축은행 영업을 허가하면 신용대출 기능이 활성화돼 서민금융 역할이 강화될 것이라 기대했다. 경쟁을 통해 금리도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지난해 말 금감원이 실시한 현장 조사 결과 개인신용대출 규모가 큰 25개 저축은행 중 대부업 계열 등 20곳은 평균 30%의 고금리를 부과했다. 차주 신용도와 관계없이 동일하게 고금리를 적용하기도 했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보통 저축은행에서 대출을 받는 고객들이 7∼10등급인데 이들 연체율이 비슷하고 7∼10등급 사이에서 왔다 갔다 하는 경우가 많아 구분하기가 힘들다”며 “신용평가시스템(CSS)에 따라 금리를 차별화하려고 하지만 신용정보가 부족해 어려운 점이 많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가계부채가 1100조원을 넘어선 상황에서 저신용자들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낮은 금리 대출 상품으로 갈아탈 수 있는 안심전환대출을 내놨지만 저축은행 이용자들은 소외됐고, 원리금 상환 능력이 있는 사람만 혜택을 누렸다는 비판이 나왔다. 이에 대해 새정치민주연합 김기식 의원이 대부업 연 25%, 여신금융기관 연 20% 등 최고 이자율을 달리 적용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4일 저신용 소비자를 위한 종합 서민금융 지원대책을 발표한다.

박은애 기자 limitle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