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학문연구회(회장 유재봉 성균관대 교수)는 지난 30일 경기도 평택 서동대로 평택대에서 ‘다원주의 사회와 기독교 학문’을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참석자들은 “여러 사상과 가치관이 난무하는 다원주의 사회에서 기독교 학문은 복음을 기초로 한 진리를 구현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선교’에 대해 발표한 총신대 신국원 교수는 “다원주의 사회에서 기독교인들은 근본주의와 자유주의 진영으로 나뉘는 경향이 있다”며 “전자는 신앙을 순수하게 지키려는 열정이 있고, 후자는 관용정신과 문화적응력이 강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런 분열은 세상의 비난과 조롱을 초래할 뿐”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다원주의에 올바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관용정신이 지나쳐 다원주의 이념에 함몰되거나 정통에 집착해 ‘오만과 반계몽주의’로 전락하지 않도록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 교수는 “다행히 다원주의 사회에서는 신앙과 학문의 대립이 크게 완화됐고, 기독교 학문의 위상도 높아졌기 때문에 복음을 전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졌다”라면서도 “다른 세계관을 지닌 이들과 더불어 살아가며 선한 영향을 미치는 일은 결코 단순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그는 “관건은 다원주의 시대정신에 함몰되지 않으면서도 복음을 독단적이지 않은 태도로 설득력 있게 제시할 능력을 갖추는 것”이라며 “이를 위해 신앙의 선배들이 보여준 영적 용기를 회복하고 관용과 겸손, 개방성 같은 사회적 덕목도 더욱 두텁게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기독교 학문’을 제목으로 발표한 고신대 강영안 이사장은 “다원주의 사회는 기독교적으로 학문을 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오히려 유리한 상황”이라며 “여러 이론과 사상, 세계관이 허용되고 서로 경쟁하는 현실은 그리스도인 학자들에게는 기회”라고 주장했다. 그는 “다양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상황에서 자신의 세계관과 사상을 통해 얻은 통찰과 이해가 탁월하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강 이사장은 “다원적 상황에서 그리스도인 학자는 마땅히 ‘참된 진리’를 발견하고 드러내고자 애써야 한다”며 “항상 무엇이 진리인지에 대한 의문을 갖고 자신이 투신한 학문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하나님은 진실한 분이기 때문에 믿고 의지하고 신뢰하는 것이 참된 진리를 추구하는 활동의 기초가 된다”며 “엄밀한 의미에서 ‘진리’라는 명사를 붙일 수 있는 것은 하나님 한 분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이사야 기자 Isaiah@kmib.co.kr
“다원주의 사회, 기독교 학문 역할 중요”… 기독교학문연구회 학술대회
입력 2015-06-02 0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