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환경기술 전문가들이 14년 만에 용산 미군기지 주변 기름오염원 추적을 위해 최근 기지 내 지하수 관정에서 시료를 채취해 분석 작업에 들어갔다.
분석 결과가 나오면 기지 인근 녹사평역과 캠프킴 미군부대 주변 지하수 기름오염의 원인이 밝혀지고 정화책임을 둘러싼 논란도 커질 전망이다.
31일 환경부와 서울시에 따르면 농어촌공사 관계자 등 한국 측 환경기술 전문가 5명은 26∼29일 용산기지 내 지하수 관정 32곳 중 지하수 샘플 채취가 가능한 16곳에서 시료를 채취했다. 우리 손으로 용산미군기지 내부 지하수 시료 채취에 나선 것은 지하철 6호선 녹사평역 지하수 기름 오염 사건이 불거진 2001년 이후 14년 만이다.
정부는 채취된 시료를 국립환경과학원으로 보내 벤젠, 톨루엔, 석유계 총탄화수소 등 휘발성 물질 검출 여부를 확인할 계획이다. 시료 분석결과는 6월 중순 나온다.
정부와 서울시는 채취된 시료에서 휘발성 성분이 나오면 내년 말 용산 미군기지 반환 전 정화를 요구할 방침이다. 시는 2001년 녹사평역 부근 기름오염이 발견된 직후부터 지금까지 기지 담 밖에 양수정을 설치하고 정화작업을 하는 데 약 71억원을 썼다.
시의 의뢰로 용산미군기지 주변 유류오염 정화작업을 하는 한국농어촌공사는 지난해 ‘지금까지 오염이 확인된 녹사평역과 캠프킴 주변 대지 면적은 1만2000㎡에 달하고, 지하수도 718ℓ가량 오염된 것으로 추정된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내놨다.
하지만 시료 분석 결과 용산기지 내 지하수 관정에 휘발성 물질이 검출되더라도 미군이 오염 정화 비용을 부담할지는 미지수다. 서울시 관계자는 “주한미군지위협정(SOFA)의 환경관련 규정을 보면 미군이 민간에 직접적인 해를 끼쳤을 때 보상한다는 식으로 우리에게 불리하게 돼 있어 미군이 책임을 회피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서울시와 시민단체 등은 용산기지 주변 대지 오염원이 미군기지라고 지적해 왔지만, 미군 측은 “이미 기지 내 정화를 마쳤다”며 부인해 왔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용산 美軍기지 지하수 시료 14년 만에 채취
입력 2015-06-01 0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