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시내버스 준공영제 개선안 효과 회의적

입력 2015-06-01 02:06
광주시가 ‘혈세 먹는 하마’로 불리는 시내버스 준공영제에 대한 개선책을 내놨으나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시는 “민선 6기 이후 시내버스 운송비용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인건비와 연료비를 표준화하는 것을 골자로 한 준공영제 개선안을 마련했다”고 31일 밝혔다.

2006년부터 준공영제로 운영중인 광주 시내버스 운송비용은 지난해의 경우 1743억원에 달했다. 이 가운데 인건비 1063억원 연료비 392억원 등 두 항목이 1455억원으로 전체의 83.5%에 달하고 있다.

시는 이에 따라 2017년부터 연료비 절감을 위한 표준연비제를 도입하고 임원 등의 인건비는 낮추기로 했다. 표준연비제는 시내버스 평균 운행속도와 정류장·교차로·신호등 수를 고려한 노선별 표준연비에 따라 연료비를 지급하는 것이다.

시는 또 정비·관리직은 물론 임원 인건비도 업체 규모별로 적정인원을 산정해 차등지급하기로 했다. 시는 이를 통해 연간 9억6400만 원의 재정부담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개선안의 절감비용이 1년에 10억원도 되지 않는데다 표준연비제의 실효성에도 의문이 제기된다.

시내버스 운전사들은 표준연비제가 시행되면 무더운 여름철에 에어컨을 켤 수 없어 승객들이 ‘찜통버스’를 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