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세 외교부장관 “朴 대통령 방미 때 北 문제 집중 논의될 것”

입력 2015-06-01 02:52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SLBM) 시험과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방북 허가 취소 등 북한의 돌발행동이 잇따르면서 외교 당국 또한 대북 제재에 총력을 기울이는 모양새다. 이달 중순으로 예정된 박근혜 대통령의 미국 방문 등 향후 외교 일정에서도 북한 문제가 집중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윤병세(사진) 외교부 장관은 지난 29일 외교부 출입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 박 대통령의 방미 시 열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과 관련, “가장 중요한 안건이 있다면 역시 북한 정세를 어떻게 보느냐 하는 문제일 것”이라며 “북핵 문제에 대한 입장, 북한 도발에 대한 대응, 한반도 평화 달성 등에 대해 여러 협의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윤 장관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의 모스크바 방문 취소, 현영철 인민무력부장 처형, SLBM 시험발사 등을 언급하며 “(북한은) 사실상 5월 내내 위협적인 언사를 해 왔다. 한 달간 계속 강한 메시지를 발신한 것”이라고 평가하면서 “이것이 무슨 의미인지 많은 분석과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정부 고위 당국자는 “최근 북한 정세에 대한 우려는 우리뿐 아니라 주변국 모두가 공유하고 있다”면서 “정책 결정에서 예측 가능성이 너무 없다는 게 공통된 우려다. 이를 핵·미사일 능력 고도화와 연결시켜 보면 혹시 앞으로 한반도에서 긴장이 고조되는 방향으로 나가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당국자는 이어 “향후 국제사회 주요국과 협의하는 과정에서 북한의 위협이 현실화되지 않도록 압박과 함께 설득 노력을 강화할 것”이라면서 “(정부는) 북측과 대화할 용의가 있다는 데 변함이 없다.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이나 유엔총회, 그 밖의 다른 적절한 계기에 기회만 닿는다면 마다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한편 윤 장관은 최근 한·일 관계와 관련,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근대 산업시설 세계유산 등재 문제, 오는 8월 종전 70주년을 맞아 이뤄질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담화(‘아베 담화’)를 주요 포인트로 꼽았다.

윤 장관은 “양국 관계 개선을 위해 상당한 관심을 갖고 노력하고 있는데, 그 과정에서 예상되는 몇 가지 장애요인이 있다”며 “위안부 문제에서 어떤 진전을 도출할지, 6월 말∼7월 초 논의될 세계유산 등재 과정에서 우리의 정당한 우려가 어떻게 반영될지, 8월 중순 아베 총리의 새 담화 내용이 어떻게 될지 등 세 가지를 중요한 포인트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조성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