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미국 일본 3국이 북한 핵 문제와 관련해 압박과 제재를 강화하기로 의견을 모았지만 중국은 대북 압박의 필요성에 원칙적으로 동의를 표시하면서도 여전히 ‘대화’를 통한 해법을 주문하며 시각차를 드러낸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을 방문 중인 성 김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는 29일 오후 베이징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한·미·일이 제기한 대북 압박 강화 필요성에 중국이 어떤 반응을 보였느냐’는 질문에 “중국은 압박이 전반적인 대북 접근에서 중요한 부분이 돼야 한다는 것에 동의했다”고 소개했다. 또 “중국은 유엔 결의안을 온전히 실행해 나가는 과정에서 우리와 협력하고 있으며 이 협력이 지속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전날 방중한 성 김 대표는 중국 측 카운터파트인 우다웨이 한반도사무특별대표와 만나 6자회담 재개 방안을 비롯한 북핵 문제 전반을 논의했다.
성 김 대표와 함께 방중한 우리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도 전날 우다웨이 대표와 회담을 가졌다. 황 본부장은 이후 한국 특파원들과 만나 “북한의 도발 억지, 핵 능력 고도화 둔화를 위한 제재 이행, 대화 복귀 유도라는 세 개 축에서 중국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부각시켰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우다웨이 대표는 “북핵 문제와 관련해 중국은 나름의 적극적이고 건설적인 역할을 계속 해나갈 것”이라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한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 정부 당국자도 “이번 한·중 접촉에서 중국의 기본적인 태도가 바뀌었다고 할 만한 건 없었다”며 “큰 틀에서 중국 입장이 변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 역시 ‘성 김 대표가 중국이 대북 압박에 동의했다고 말했는데 이를 어떻게 평가하느냐’는 질문에 “유관 각국은 마땅히 짊어져야 할 공동의 책임이 있다”며 “북핵 문제는 매우 복잡하다. 우리는 대화를 통해 각국의 정당하고 합리적인 우려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사실상 현 단계에서는 대화가 우선이며 대북 압박·제재를 강화하는 것에 반대한다는 뜻으로 해석되고 있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
韓·美·日 “북핵 제재 강화” 한목소리에 中 “대화로 해결해야”… 대북 압박 시각차
입력 2015-05-30 0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