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근대화 시설 세계문화유산 등재, 타협 방안 찾자”

입력 2015-05-29 03:37
일본이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신청한 근대화 산업시설과 관련해 우리 정부에 “타협 방안을 논의하자”고 제안해 온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측은 지난 22일 도쿄에서 열린 최종문 외교부 유네스코 협력대표와 신미 준(新美潤) 일본 외무성 국제문화교류심의관과의 첫 협의에서 이 같은 입장을 우리 측에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측은 당초 “근대화 시설 일부가 2차 세계대전 당시 한국인 강제노동이 행해진 곳”이라는 우리 정부의 문제제기에 대해 “정치적 주장”이라고 반박했었다.

일본의 입장 변화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산하 민간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이코모스)가 지난 15일 ‘등재 권고안’에서 “전체 역사를 알 수 있도록 하라”고 한 데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우리 정부는 일본이 1850년부터 1910년으로 시기를 한정해 이 시설들의 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했지만, 1940년대에 집중됐던 조선인 강제노동도 포함돼야 한다는 게 우리 정부의 판단이다.

세계유산 등재 여부는 6월 28일부터 7월 8일까지 독일 본에서 열리는 제39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최종 결정된다. 정부 당국자는 기자들과 만나 “일본이 이코모스 권고의 무게를 충분히 알고 있을 것으로 안다”면서 “권고안은 우리가 전달한 우려가 타당하다고 생각해 포함시킨 것이 확실하다”고 했다.

일본이 등재를 신청한 23개 근대 산업시설 가운데 하시마(端島) 탄광을 비롯해 7곳이 대일 항쟁기 조선인 5만7900명의 강제징용이 행해진 곳이다.

신창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