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주거환경정비구역 축소 소규모로 진행

입력 2015-05-28 02:09
대전시는 주거환경 정비예정구역을 대폭 축소하고, 소규모 정비사업으로 전환키로 했다.

대전시는 2011년 3월 마련된 ‘2020 대전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기본 계획’과 관련, 그동안 도출된 문제점을 개선하고 사회적 여건변화를 반영해 변경하기로 했다고 27일 밝혔다.

대전시 도지재생본부가 추진 중인 변경안에 따르면 168개 정비예정구역을 122개로 축소하고, 해제되는 정비구역 등을 수복형 도시정비사업의 일환으로 소규모 공동체 사업방식의 주거환경 관리사업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시의 이 같은 방침은 사업 추진에 걸림돌이 많아 지지부진하거나 해제된 곳을 방치하지 않고 가능한 곳부터 하나씩 정비하겠다는 것이다.

그동안 주거환경 정비사업은 기존에 수백여 가구를 동시에 추진하다 보니 갈등과 마찰 등으로 사업이 지지부진해지거나 중단되는 사례가 적지 않았다.

이에 따라 정비예정구역에서 해제되면 2가구 이상의 주민이 합의해 사업을 요구할 경우 시가 정비를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해당 주민이 계획 초기 단계부터 참여하고 전문가그룹의 참여도 유도하며 시와 자치구는 행정지원을 하는 민간주도의 정비사업 형태다. 현재 결정된 사업대상 지역은 중구 석교동 2, 3, 4, 5구역과 대동 7구역 등 모두 5곳이다.

정비가 진행되는 동안 주민들은 순환형 임대주택에 머물다 완공 후 입주하면 된다.

대전=정재학 기자 jh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