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계가 또다시 개신교 고위공직자나 후보자에 대한 터무니없는 종교편향 논란을 부추기고 있다. 법보신문 등 불교계 언론과 종교자유정책연구원 참여불교재가연대 대한불교청년회 등 불교단체는 “황교안 국무총리 후보자가 신학대 출신으로 목회자 과세 부당성 등을 주장한 독실한 보수 기독교 신자로, 종교편향 공직자이기 때문에 자진사퇴해야 한다”며 각을 세우고 있다.
고위공직자에 대한 불교계의 종교편향 논란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불교계는 이명박 정부 때부터 기독교 고위공직자의 신앙고백, 간증, 저서 등을 조사해 ‘골수 기독교인’ 등의 극단적 용어를 써가며 종교편향 공직자로 비판해왔다(표 참조). 김신 대법관, 황우여 교육부장관, 김성이 복지부장관 후보자 등은 사석에서 했던 신앙간증이나 발언까지 문제 삼았다.
불교계는 개신교인이 고위공직자가 되면 종교편향으로 비판하고 불교신자가 되면 즉각 환영입장을 밝히는 이율배반적인 태도를 보여 왔다. 대표적인 사례가 2011년 봉은사 미래위원장 출신인 박원순 시장이 당선됐을 때이다. 불교계는 박 시장이 ‘재가불자(在家佛者)의 귀감’ ‘불교에 탁월한 식견을 가지고 있는 친불교성향의 시장’이라며 치켜세웠다. 불교계는 김두관 전 경남도지사, 이광재 전 강원도지사가 당선되고 김병관 전 국군불교총신도회 회장이 국방부 장관에 내정됐을 때 대대적으로 환영입장을 밝힌 바 있다.
박명수 서울신대 교수는 “개인 신앙을 말이나 글로 표현하는 행위는 헌법이 보장하는 종교의 자유에 해당된다”면서 “오히려 종교편향은 박 시장이 확정·고시한 봉은사역명이나 3500억원의 세금을 투입해 서울시가 추진하는 ‘조계사 부근 성역화 사업’ 등 정부·지자체가 특정종교에 편향적으로 행정·재정 지원을 할 때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이억주 한국교회언론회 대변인은 “개신교계는 지금까지 불교계 인사가 고위공직자로 임명됐을 때 종교적 이유로 반대한 적이 없다”면서 “그런데 불교는 유령 같은 종교편향 논리를 내세워 ‘개신교 공직자이기 때문에 안 된다’고 비판한다. 불교는 성숙한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백상현 기자
불교계 “황교안 총리 NO!”… 종교편향 논리로 또 몽니
입력 2015-05-28 0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