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의 복합문화시설인 국립아시아문화전당(사진)의 9월 정상 개관이 사실상 어려울 전망이다. 문화전당을 운영할 조직 구성이 늦어진데다 전시·공연 등 문화콘텐츠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27일 문화체육관광부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과 광주시에 따르면 옛 전남도청 부지에 들어설 문화전당을 오는 9월 4일 전면 개관하기 위한 기념축제 등을 준비하고 있다.
문화전당은 아시아인들의 문화교류를 통해 아시아문화의 가치를 높이고 미래 성장 동력이 될 문화산업을 꽃피우기 위한 구심점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문화예술의 창조와 연구, 교류, 향유, 교육 공간이 결합된 문화전당 개관을 계기로 광주가 아시아의 문화중심도시로 자리 잡도록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개관을 불과 3개월여 앞둔 지금까지 전당 운영을 전담할 조직 구성조차 못하고 있다. 그동안 전당을 채울 콘텐츠 개발과 운영을 맡아온 아시아문화개발원은 지난 3월 아시아문화중심도시 특별법 개정안 통과 이후 해산했다. 그런데 그 뒤를 이을 가칭 ‘아시아문화원’ 출범은 첫 걸음도 떼지 못한 상황이다.
개정안은 문화전당을 향후 5년간 국가 소속 기관으로 두고 관리운영비를 정부가 지원하도록 의무화했지만 전당 운영조직 설립과 필요 인력 채용 등 후속 조치가 늦어지고 있다.
추진단은 아시아문화개발원 인력의 고용승계와 신설 아시아문화원의 신규 국가공무원 채용 범위 등에 대해 행정자치부, 기획재정부와 협의하고 있으나 정원·예산 범위에 대해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해산된 아시아문화개발원은 정규직 40명 등 207명으로 꾸려왔지만 아시아문화원에는 정규직 423명을 포함해 최소한 900∼1000명이 필요한 것으로 전해졌다. 새 조직의 출범작업을 진두지휘해야 될 아시아문화개발원장이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장 재임 때 건설업체로부터 뇌물을 받은 혐의로 최근 불구속 기소된 점도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문화전당 16만㎡ 규모의 넓은 문화공간을 어떤 컨텐츠로 채울 지도 의문이다. 추진단은 개관기념전으로 해외작가와 국내 작가들이 참여하는 ‘ACT(Art&Creative Technology) 페스티벌’을 갖기로 했을 뿐 다른 콘텐츠 구성은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1980년 5·18민주화운동의 역사적 현장인 옛 전남도청과 경찰청, 상무관 등 6개 건물을 보존해 만드는 민주평화교류원은 아직도 공사가 진행 중이다. 2005년 광주 광산동 옛 전남도청 부지 일원에서 첫 삽을 뜬 문화전당은 5개원 가운데 나머지 아시아문화정보원, 어린이문화원, 문화창조원, 아시아예술극장 등 4개원만 공사가 마무리됐다.
추진단 관계자는 “오는 7월 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 개막에 맞춰 전당을 부분 개관하고 다양한 전시·공연 콘텐츠를 추가로 확보해갈 것”이라며 “시민들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기 위해 9월 정상 개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조직 구성 늑장 9월 개관 물거품
입력 2015-05-28 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