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코올 의존성이 의심돼 치료를 받으려는 30대 후반 남성입니다. 막상 치료를 시작하려고 하니, 치료에 대한 두려움이 큽니다.”
Q. 알코올 중독은 반드시 입원해서 치료받아야 하나요? 주변에 티내지 않고 치료받고 싶습니다.
어느 정도 자신의 술 문제를 인정하고 현재의 사회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사람은 외래 치료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개 알코올 중독 상태가 되면 환자가 개인의 의지만으로 술을 끊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대부분의 알코올 의존자들은 자신의 술 문제를 부정하거나 가볍게 생각하기 때문이지요. 술을 마실 수 없는 환경적으로 통제된 공간에서 술과의 접촉뿐 아니라 면담, 교육, 심리 치료를 통해 자신의 생각, 감정, 행동에 대한 통제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술로 인한 폭언이나 폭력, 가족 내의 갈등이 심해지면 치료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관계 악화를 막기 위해서라도 입원 치료가 필요합니다. 주변 사람에게 알리지 않거나 도움을 청하지 않아 위기 상황에 빠지거나 재발하는 경우도 많으므로 직장 동료나 상사, 친구들에게 자신의 결심을 알리고 진심으로 도움을 청하는 것을 권합니다.
Q. 알코올 중독 진단 시 치료 기간은 평균 어느 정도 되나요?
환자마다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최소 3∼6개월 정도가 소요됩니다. 관리병동은 환자 스스로가 자신의 알코올 중독을 인정하는 과정으로 약 1∼2개월 정도가 소요됩니다. 통제된 환경에서 알코올로 인한 금단 현상을 완화시키는 약물 치료를 진행하고 교육, 상담 등을 통해 자신의 술 문제를 받아들이고 단주 동기를 갖도록 합니다. 개방병동은 관리병동과 달리 외출과 외박이 가능합니다. 개방된 환경에서 술 없이 가정과 사회에 적응하는 훈련을 하는데 최소 9주(약 2개월)가 소요됩니다. 마지막 재활병동은 홀로서기를 위한 자발적인 과정입니다. 낮에는 구직 활동이나 직업 활동을 하고 저녁에는 병원의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일상 속 단주생활을 훈련하며 퇴원을 준비합니다.
Q. 알코올 중독 치료 시 비급여 부분이 많나요?
알코올 의존증 치료는 단순한 신체적 치료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생각과 마음과 행동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치료입니다. 즉 교육과 훈련을 통해 사람이 변해야 하는데, 이렇게 사람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개인면담, 교육, 집단치료, 인지행동치료, 사회기술훈련과 같은 체계적인 회복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인 치료 프로그램은 급여에 해당하지만 적극적인 준비를 위한 일부 프로그램에서는 비급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답변=다사랑중앙병원 김석산·이무형 원장>
각종 질병에 대해 궁금한 내용을 건강생활팀 김단비 기자(kubee08@kukimedia.co.kr)에게 이메일로 보내주세요. 독자 여러분의 질문을 선정, 의료진이 직접 답변을 드립니다.
[쿡닥터의 진료상담] 알코올중독 극복 3∼6개월 소요… 관리 개방 재활 병동 구분 치료
입력 2015-06-01 0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