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26일 황교안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을 국회에 제출하면서 황 후보자의 자질과 도덕성 검증을 위한 청문회 정국이 시작됐다.
임명동의안에 따르면 황 후보자는 2013∼2014년 1억4000여만원을 기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황 후보자는 법무부 장관 인사청문회 당시 대형 로펌에서 17개월간 15억9000만원의 수임료를 받은 사실이 공개돼 전관예우 논란이 일자 기부 의사를 밝힌 바 있다.
여당은 앞으로 청문회 및 인준 절차를 신속하게 진행해 최대한 빨리 인준을 마무리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야당은 황 후보자를 ‘공안 총리’로 규정하고 철저한 검증을 예고하고 있어 청문 과정에서 여야 간 팽팽한 기싸움이 이어질 전망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황 후보자의 도덕성 등을 둘러싼 예상 밖의 변수가 불거질 경우 다시 한번 ‘총리 인사(人事) 실패’ 논란이 벌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청문회는 6월 정국의 최대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오후 늦게 박 대통령의 재가를 받아 황 후보자에 대한 임명동의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임명동의안에는 임명동의에 대한 주문과 제안 이유가 기재됐고, 인사청문요청서도 첨부됐다. 황 후보자 직업과 학력, 경력, 병역, 재산신고, 최근 5년간 납세실적 및 체납 여부, 범죄경력 등의 내용도 포함됐다.
청와대는 총리 부재에 따른 국정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음달 중순으로 예정된 박 대통령의 미국 방문 이전에 황 후보자에 대한 국회의 인사청문 및 인준 절차가 완료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인사청문회법에 따르면 국회 인사청문특위는 임명동의안이 제출된 날로부터 15일(6월 9일) 이내에 청문회를 마치고, 전체 국회 심사 절차는 20일(6월 14일) 이내에 마쳐야 한다.
새누리당도 황 후보자는 이미 국무위원으로서 검증 과정을 거친 인사인 만큼 박 대통령 방미 이전에 황 총리 인준안을 처리하겠다는 입장이다. 반면 새정치연합은 청문회 태스크포스(TF) 등을 중심으로 황 후보자에 대한 병역면제, 전관예우, 정치적 편향성 논란 등을 집중 제기한다는 계획이다.
박 대통령은 앞서 오전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황 후보자 인준 절차와 관련, 국회에 협조를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앞으로 황 후보자가 인사청문회와 국회 인준 절차를 거쳐 국민적 요구인 이 막중한 과제들을 추진해 나갈 수 있도록 국회에 많은 협조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또 국회에 “민생법안이 합의가 안 된다면 청년 일자리 창출 관련 법안이라도 통과시켜 달라”고 당부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관련기사 보기]
수임료 16억 중 1억4천만원 기부
입력 2015-05-27 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