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김상곤 혁신위원회’가 26일 공식 출범을 앞두고 출발부터 혁신 방향과 내용을 두고 ‘백가쟁명’ 식 논의가 나오고 있다. 특히 호남과 486(80년대 운동권 출신) 등 특정 정치 세력을 염두에 둔 듯한 ‘물갈이설’이 돌면서 벌써부터 당이 들썩거릴 조짐이다.
김상곤 혁신위원장은 아직 당 혁신안의 구체적 내용은 물론 윤곽도 밝히지 않는 등 신중한 모습이다. 김 위원장은 최근 일부 당내 인사들과 만난 자리에서 “공천은 민감한 문제이기 때문에 함부로 얘기하기 어렵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위원장은 27일 기자회견을 열고 혁신안의 밑그림을 설명할 예정이다.
혁신의 주체인 김 위원장은 말을 아끼는 반면 혁신 대상인 당은 인적쇄신론을 둘러싸고 벌써 시끌벅적하다.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YTN라디오에 출연해 “어떤 경우에도 국민과 당원이 납득할 수 있는 혁신공천과 현역의원 물갈이는 필요하다”면서도 “획일적으로 호남 출신 또는 486 이렇게 (물갈이를) 했을 경우에는 또다시 혼란이 올 것”이라고 말했다. 문재인 대표는 이와 관련, 기자들과 만나 “혁신위가 구성되지도 않은 상황”이라며 “혁신위에서 내부 논의를 이뤄나가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원혜영 공천혁신추진단장도 “혁신위가 결정을 내리면 추진단은 여기에 맞춰 (공천안을) 바꿀 것”이라고 말했다.
당내에서는 시기의 문제일 뿐 호남 지역을 포함한 다선·중진 의원 등에 대한 인적쇄신 논의는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당의 한 관계자는 “계파를 불문하고 자발적으로 총선 ‘불출마 선언’을 하는 중진 의원이 없기 때문에 어차피 언젠가는 인적쇄신에 대한 논의가 나올 수밖에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문 대표가 혁신위원장으로 밀었던 서울대 조국 교수가 제시했던 요구사항을 혁신위가 얼마나 반영할지도 관심사다. 혁신위원 후보로도 거론되는 조 교수는 계파 불문 4선 이상 의원 다수 용퇴 또는 적지 출마, 지역 불문 현역의원 교체율 40% 이상 실행 등을 요구한 바 있다.
혁신위원회가 당내 갈등 수습에만 머물러서는 안 된다는 의견도 나온다. 그러나 김 위원장이 계파에 따라 입장이 제각각인 상황인 데다 실제 전권을 휘두를 수 있을지 의문이어서 당의 전폭적 지지를 받는 혁신안을 마련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회의적인 전망도 나온다.
임성수 기자
‘김상곤號 혁신위’ 출범 전부터 ‘물갈이론’ 논란… 선장은 말 아끼고 선원은 들썩들썩
입력 2015-05-27 0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