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수서역 일대 개발 방식 갈등… 국토부, 복합단지 조성 추진-서울시, 복합환승센터 부지 우선 개발 방침

입력 2015-05-27 02:03

내년 상반기 개통을 앞둔 KTX수서역 일대 개발 방식을 놓고 국토교통부와 서울시가 갈등을 빚고 있다. 국토부는 일대 그린벨트 38만㎡를 한꺼번에 해제해 개발할 계획이지만 시는 주변 지역과 연계해 종합적이고 순차적으로 개발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26일 서울시와 국토부에 따르면 국토부는 수서역세권 일대(38만㎡)를 그린벨트에서 한꺼번에 해제해 관광·문화·컨벤션 기능을 갖춘 복합단지로 개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KTX역사 부지는 용적률을 완화해 역세권으로 개발하고 철도시설공단과 민간이 공동으로 소유한 남측 부지는 공공임대주택인 행복주택과 상업시설을 조성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이를 위해 LH·철도공단과 다음 달까지 협약을 체결할 예정인데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해당 부지를 조성한 뒤 민간에 매각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이 같은 계획에 반발하고 있다. 시는 KTX 개통 등 시급성을 고려해 1단계로 수서역 일대 복합환승센터(11만㎡) 부지를 우선 개발하는 데는 공감하고 있다. 그러나 나머지 27만㎡와 서울메트로 부지인 탄천변 수서차량기지(20만㎡)는 주변 지역과 연계성을 고려해 단계적으로 개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시는 지난 2월 수서역 일대와 문정지구 등을 포함한 수서·문정 지역중심 약 340만㎡ 부지를 업무·R&D·생산·물류 기능이 융합된 ‘미래형 복합도시’로 육성한다는 장기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시는 이 일대를 산업활력과 환경가치가 함께 하는 산업교류·동반성장 파크로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교통요충지의 잠재력을 활용해 강남과 전국을 연계하는 산업교류·중소산업 중심지로 육성하고. 대모산과 탄천, 청량산으로 이어지는 생태축을 고려한 도시를 조성할 계획이다. 또 서울 상암동 DMC처럼 핵심기능 유치를 위해 단계적으로 토지를 공급하고 공급가격을 차별화하는 한편 밤고개길 확장과 내부도로 신설 등 기반시설 확충을 통해 공공성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국토부의 일시적 개발 방식은 시의 중·장기 종합발전계획에 어긋난다는 게 시의 입장이다.

서울시 도시계획과 관계자는 “국토부가 신도시급 대규모 개발사업을 종합적 검토 없이 성급하게 추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30만㎡ 이상 대규모 개발은 국토부가 결정 권한을 갖고 있어 서울시는 속을 태우고 있다.

시 관계자는 “수서·문정 지역중심 육성 종합관리방안에 대한 용역을 발주했고 결과가 연말까지는 나올 예정”이라며 “수서역 일대 복합환승센터 부지 개발은 적극적으로 지원하겠지만 나머지 부지는 통합적 계획 수립을 바탕으로 단계적 육성·관리 방안을 국토부와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