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당국이 비판 언론을 어떻게 다스리는지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후베이성에 위치한 ‘장강상보(長江商報)’를 통해서다.
홍콩 명보와 BBC중문망은 25일 일련의 장강상보 보도가 정부의 분노를 사서 ‘숙정(肅正) 작업’이 진행 중이라고 보도했다. 장강상보의 숙정 작업은 ‘쓰촨성 난충시 뇌물선거 사건’ ‘푸젠성 구레이반도 파라자일렌(PX) 업체 폭발 사고’ ‘구이저우 마오타이의 거짓 선전’ ‘네이멍구 민원인 살해 사건’ 등 사회고발성 기사와 연관이 있다.
내부 소식통을 인용한 보도에 따르면 허베이성 선전부와 신문출판국 관계자로 구성된 실무작업팀은 지난 12일부터 신문사에 상주하기 시작했다. 신문 제목 등을 검열하는 것은 기본이다. 일부 기자들에게 사실과 다른 보도를 했다는 이유로 벌금을 물렸고, 취재 노트와 녹음 자료도 제출토록 했다. 자오스룽 편집장은 장기 휴직으로 처리돼 회사를 떠났다. 각 지방의 지국 기자들에게는 본사가 있는 후베이성 우한으로 출근하도록 지시해 많은 기자들이 회사를 그만뒀다.
이 중에는 고위 공직자의 비리를 고발한 뒤 ‘신쾌보’에서 장강상보로 지난해 이직했던 류후(劉虎)도 포함됐다. 류후는 ‘국경 없는 기자회(RSF)’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용감한 기자 100명’ 중 한 명이었다. 자유아시아방송은 장강상보의 상급 기관인 ‘지음미디어그룹(知音傳媒集團)’이 장강상보를 사회·정치 뉴스와 평론을 없앤 순수 경제지로 변경하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이 같은 일련의 조치들은 공산당 중앙선전부의 의중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BBC중문망은 이데올로기 선전을 주관하는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류윈산 상무위원과 류옌둥 위원, 류치바오 위원 등이 장강상보의 푸젠성 PX 업체 폭발 사건 관련 특집 보도에 대해 직접 서면 의견을 제시했다고 전했다. 관련 보도가 중국의 전략적인 발전 계획에 영향을 미쳤다는 요지다.
이들은 “서방국가들이 중국의 PX 산업 발전을 원치 않는다”면서 “그 이유는 중국에 고가의 PX 제품을 팔기를 바라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
공무원 상주·제목검열·벌금… 중국이 비판언론 길들이는 법
입력 2015-05-26 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