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새정치연합 혁신은 당내 증오심 청산부터

입력 2015-05-25 00:30
새정치민주연합 쇄신작업을 주도할 당 혁신기구 위원장에 김상곤 전 경기교육감이 임명됐다. 김 위원장은 첫마디로 “이 자리가 독배나 다름없고 혁신도 쉽게 될 수 있는 게 아니라는 말들을 들었다”며 “국민·당원과 함께하면 혁신할 수 있다는 믿음이 있다”고 말했다. 우려 반, 확신 반이다.

야당 혁신위가 제대로 성과를 낼지는 누구도 장담 못한다. 기대도 있지만 사실 우려가 더 많은 게 현실이다. 친노·비노로 갈려 험악하게 싸우는 당내 상황 때문이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6주기 추도식에서 일부 친노 세력들이 보여준 증오심, 광주에서 5·18기념식에 문재인 대표 등에 대한 일부 호남 인사들의 배타적 언동들이 이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두 세력은 서로 상대방을 기득권이라 매도하고, 혁신 대상이라 손가락질하니 국민들은 도대체 어이없을 따름이다.

그동안 선거 또는 당내 큰 정치적 행사가 끝나면 통합을 부르짖으며 혁신안이 많이도 만들어졌었다. 하지만 불행히도 당내 패거리 문화 때문에, 이미 확보한 소소한 당내 정치권력 때문에, 정권 획득보다는 안락한 제1야당의 국회의원 자리 유지 때문에, 지금까지의 혁신안들은 그냥 안으로만 머물러 있었다. 문제는 당의 체질을 뼛속까지 바꿔야겠다는 당 지도부와 구성원들의 의지다.

‘무늬만 쇄신’으로 끝나지 않기 위해 김 위원장이 해야 할 일은 우선 차기 집권보다는 계파 이익이나 의원직에 더 관심 있는 구성원들의 생각과 시스템을 고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결국 사람을 쓰는 시스템에 문제가 없는지, 당내 계파 수장들의 기득권 내려놓기를 어떻게 실행하게끔 만들지를 우선 다뤄야 한다. 지금 야당은 보수 정도가 아니라 집을 다시 지어야 할 정도로 허물어져 있다.

혁신안이 어느 범위까지 다룰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결국 정치적 핵심은 다가온 총선의 공천 시스템, 그리고 대선 플랜으로 귀결될 가능성이 적지 않다. 야당의 공천은 2008년과 2012년의 총선이 비교된다. 2008년 사례는 엄격한 기준과 호남 30% 물갈이 등 개혁 공천으로 평가받았다. 2012년은 비례대표 등 운동권 출신들의 대거 공천으로 실패라는 지적을 받았다. 그 결과는 수준 미달인 지금 야당의 현주소이다.

김 위원장의 강력한 혁신은 당내 반발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혁신은 김 위원장의 의지대로만 되는 게 아니고 문 대표와 계파 수장들이 적극 동의해줘야 한다. 혁신 성공의 성패 여부는 거기에 달려 있다. “모든 것을 내려놓겠다”는 문 대표의 말은 모두에게 적용돼야 한다. 야당이 잘해야 여당과 정부가 긴장하고, 그래야 국정이 건강하게 운영된다. 혁신이 없는 야당은 아무리 떠들어 봐야 당내 패거리 싸움이고, 지지자들에게도 냉소만 받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