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기업 3차 워크아웃, 김진수가 먼저 成에 권유

입력 2015-05-22 02:36
2013년 10월 27일 당시 국회 정무위원이던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은 금융감독원에서 기업 구조조정 업무를 맡고 있던 김진수(55) 전 부원장보를 자신의 국회의원실로 급히 호출했다. 동양사태 홍역을 치른 금감원이 “부실기업 구조조정은 시간과의 싸움”이라며 선제적 대응을 천명하던 때였다.

성 전 회장은 김 전 부원장보에게 경남기업의 유동성 위기를 언급하며 “추가 대출 지원을 받게 해 달라”고 말했다. 김 전 부원장보는 “차라리 다시 3차 워크아웃 절차를 시작하시라”고 권유했다. 그는 “그래야 신규자금 지원도 되고 실사도 빨리 해줄 수 있다”는 설명으로 성 전 회장을 설득했다. 2차 워크아웃을 조기 졸업한 지 불과 1년여 만에 3차 워크아웃에 돌입하는 이례적 사례는 이렇게 탄생했다.

국회 정무위원과 금감원 간부의 뜻이 모이자 채권금융기관들은 경남기업에 긴급자금 1000억원을 지원했다. 은행들은 이 긴급자금을 빼고도 3차 워크아웃 기간에 3433억원을 더 쏟아부었다. 김 전 부원장보는 2013년 4월에도 조영제(58) 전 금감원 부원장과 함께 신한은행 국민은행 농협은행 등 3곳에 수백억원대의 경남기업 지원을 종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들은 회수 가능성이 낮은 경남기업에 자체적으로는 추가 대출을 하지 않으려는 상황이었다. 최근 상장 폐지된 경남기업은 아직도 3374억원을 갚지 못한 상태다.

앞서 김 전 부원장보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한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세조사부(부장검사 한동훈)는 다음 주에 조 전 부원장까지 소환조사할 방침이라고 21일 밝혔다. 고객 예금인 은행 자산이 함부로 쓰이도록 직권을 남용한 것은 뇌물사범과 비교해도 가볍지 않은 범죄라는 게 검찰의 판단이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