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연합 혁신위원장 후보 ‘前 경기도교육감 김상곤·조국 서울대 교수’ 압축

입력 2015-05-22 02:31
안철수 새정치민주연합 전 공동대표(왼쪽)와 박원순 서울시장(가운데), 김한길 전 공동대표가 2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공정성장을 위한 남북경제협력’ 좌담회에 참석해 말없이 서로 다른 곳을 쳐다보고 있다.이동희 기자

새정치민주연합이 21일 김상곤 전 경기도교육감과 조국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혁신기구 위원장 후보군으로 압축하고 영입절차에 착수했다. 그러나 당내 인사를 선임해야 한다는 의견과 ‘혁신기구 무용론’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어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새정치연합 지도부는 21일 오전 비공개회의를 통해 혁신기구 위원장 선임 논의를 이어갔다. 김성수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복수의 후보군으로 좁혀 계속 논의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수도권의 한 재선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혁신위원장 후보로 조 교수와 김 전 교육감이 유력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당 핵심 관계자도 “두 사람이 복수 후보군에 올라 영입을 시도하고 있다”고 확인했다.

지도부의 한 핵심의원은 “이번 주 내로 결론을 내기 위해 여러 가지 조합을 통해 최선의 카드를 만드는 노력을 하고 있다”며 “복수의 후보가 모두 (영입 대상) 1순위”라고 말했다. 이어 “혁신기구 위원은 당내 인사를 중심으로 하되, 위원장은 당외 인사가 맡는 것이 좋겠다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안철수 전 대표가 위원장직을 거부함에 따라 지도부 내에서는 한때 조 교수가 가장 유력한 대안으로 떠올랐었다. 전날 밤부터 새벽까지 이어진 비공개 회의에서도 조 교수 영입이 비중 있게 제안됐으나 이종걸 원내대표 등의 강력한 반대로 결론에 이르지 못했다. 새정치연합은 지난해 9월 조 교수를 외부 비대위원장으로 영입하려 했지만 결국 무산됐다. 당시도 문재인 대표가 조 교수의 영입 작업을 주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조 교수 본인도 자신의 트위터에 “백면서생을 호출하지 마시고 130명의 선량(의원)들의 힘을 보여 달라”며 완곡한 거절 의사를 밝혔다.

이 원내대표는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당 사정을 잘 알고, 많은 의원을 배려할 수 있는 내부 인사가 일치와 화합을 만드는 주역이 됐으면 한다”며 조 교수 영입에 반대의사를 밝혔다. 그러나 조 교수의 ‘4선 용퇴론’ 등에 대해서는 “미래로 가는 정당이 해야 할 개혁과 쇄신을 원칙적으로 표현한 글”이라며 “새정치연합이 참고하고 받아야 할 원칙 가운데 하나”라고 평가했다.

조 교수 영입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 이 원내대표는 오전 회의에서 조 교수 대신 김 전 교육감을 대안으로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고위원들도 대체로 ‘김상곤 카드’에 공감을 표했다. 이에 대해 문 대표는 “고민해 보겠다. 내게 맡겨 달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비노(비노무현) 진영인 이 원내대표의 제안이 반영된 혁신기구가 구성되면 이를 통한 당 내분 수습이 급물살을 탈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비노 진영은 여전히 혁신기구 자체에 대한 회의적 입장을 거두지 않고 있다. 문 대표가 4·29재보선 패배와 당 내분의 책임을 혁신기구에 전가하려 한다는 주장이다. 한 비노계 인사는 “우리의 주장은 내년 총선과 정권교체를 위한 쇄신의 의지를 보여 달라는 것”이라며 “문 대표가 친노 패권주의를 인정하는 것이 그 첫걸음”이라고 강조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