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총리 후보 황교안] 정치개혁·성완종 파문 돌파… ‘믿을맨’ 기용

입력 2015-05-22 02:36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월 21일 청와대에서 '국가혁신'을 주제로 열린 정부부처 합동 신년 업무보고에서 당시 황교안 법무부 장관(오른쪽)과 웃으며 악수를 나누고 있다. 사진 가운데는 주호영 새누리당 의원. 연합뉴스

새 국무총리 인선을 놓고 한달 가까이 장고(長考)를 거듭하던 박근혜 대통령의 ‘황교안 총리 후보자 카드’ 선택은 정치개혁과 국정 운영의 안정성을 복합시킨 결과물로 분석된다. 그동안 박 대통령 자신이 틈이 날 때마다 강조해온 부정부패 및 비리 척결을 통한 전방위 개혁은 물론 국회 인사청문회 절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카드라는 의미다.

청와대 관계자는 21일 “총리 지명 발표문에 박 대통령의 국정 구상이 담겨 있다고 보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제 재도약은 물론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선 먼저 정치개혁을 이루는 것이 중요한데, 황 후보자가 그런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 구상을 추동력 있게 밀어붙일 수 있는 적임자라는 의미다. 실제로 박 대통령은 최근 과거로부터 쌓여온 적폐를 일소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수차례 밝혀 왔다. 이번 총리 후보자 지명도 그런 차원에서 나왔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박 대통령이 사정·공안정국 조성을 한다며 강력 반발하는 야당의 움직임을 예상하면서도 황 후보자를 지명한 것은 이처럼 흔들리지 않는 박 대통령의 생각이 배경에 깔려 있기 때문이라는 시각도 있다.

여권에선 특히 ‘황교안 카드’를 통해 향후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 방향성이 더욱 확실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세월호 참사 이후 국가 대혁신에 방점을 두고 국정운영에 매진해 왔다면 임기 반환점을 도는 현 시점부터는 정치권은 물론 사회 각 부문에 ‘개혁’의 이름으로 켜켜이 쌓여 있는 부정부패, 비리 척결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박 대통령은 ‘성완종 파문’ 이후부터 “비리에 대해선 누구도 예외가 될 수 없다”며 성역 없는 엄정한 대처와 비리에 대한 발본색원을 주문해 왔다. 이를 통한 정치개혁 바람을 사회 각 부문으로 확산시켜 나간다는 게 박 대통령의 구상이다. 성완종 파문을 정면으로 돌파하겠다는 승부수로도 읽힌다.

박 대통령은 아울러 황 후보자를 통해 올해 최우선 국정과제인 공공·노동·금융·교육 등 4대 개혁과제 완수에 매진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그동안 불거졌던 특별사면 논란, 정치권 유착, 비리 의혹 규명은 물론 사면제도 개선 등 제도보완까지 맡길 전망이다.

박 대통령의 황 후보자 발탁 배경을 국정운영의 연속성과 안정성에서 찾는 시각도 있다. 박 대통령은 취임 첫해부터 2년 넘게 법무부 장관으로 커다란 국정 현안들을 대과(大過) 없이 해결해온 황 후보자를 각별히 신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총리 인선 기준의 중요한 고려 대상이 국회 인준 가능성이었던 것도 황 후보자 지명 배경으로 보인다. 황 후보자가 이미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과한 경험이 있는 현직 각료라는 점이 박 대통령의 결정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청와대는 이완구 전 총리 후임 인선 기준으로 도덕성과 국정과제 추진능력, 국회 인사청문 통과 가능성 3가지를 정하고 인선작업을 진행해 왔다.

그러나 이 같은 박 대통령의 고심의 결과가 반드시 순탄한 진행을 담보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박근혜정부 내내 그랬듯 인사청문 과정에서 어떤 돌발변수가 튀어나올지 모르기 때문이다.

여기에 정치 경력이 없는 황 후보자가 국정 전반은 물론 대(對)국회 관계를 어떻게 풀어나갈지도 지켜볼 대목이다. 법과 원칙을 중시하는 검사 출신인 그가 타협과 조율은 물론 고도의 정무감각이 필수적인 총리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선 일정 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