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도안신도시를 흐르는 갑천 주변을 개발해 대규모 호수공원과 아파트를 건설하려는 ‘갑천지구 친수구역 조성사업’을 둘러싸고 찬반 논란이 일고 있다.
대전시는 “시민들에게 여가와 휴식, 생태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쾌적한 정주여건을 부여하게 된다”는 입장인 반면, 시민단체들은 “환경 훼손과 원도심과의 불균형을 심화시키는 개발”이라며 반대하고 있다.
이 사업은 현재 논밭인 서구 도안동과 유성구 원신흥동 갑천 주변 95만1000m²를 개발해 인공호수를 만들고 아파트 5500가구를 지어 1만5000명을 수용하는 계획이다. 전체 면적의 절반가량은 호수공원이 차지한다. 시는 7월 토지 보상에 들어가 내년 하반기에 아파트를 분양할 계획이다. 총 사업비는 5300여억 원(보상비 3400여억 원)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사업은 그동안 우여곡절이 많았다. 처음 염홍철 전 시장이 자연친화적 시민 휴식공간과 정주여건을 조성하겠다며 민선 3기(2002∼2006년)에 추진을 시작했다. 그러나 2006년에 당선된 박성효 전 시장은 “그 돈으로 서민 임대주택을 짓는 게 낫겠다”며 사실상 폐기했다.
2010년 재선된 염 시장이 4대강 사업과 연계해 예산을 확보해 재추진하려다 실패하자 사업을 축소했다. 후보 시절 명확한 입장 표명을 미루던 권선택 현 시장은 2월 사업 예산과 규모를 늘려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대전시 관계자는 “갑천지구에 자연친화적인 생태호수공원을 조성하면 시민들에게 여가와 휴식, 생태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쾌적한 정주여건을 부여할 수 있다”며 “또 미개발 도심지역을 체계적으로 개발하면 난개발을 미연에 막을 수 있는 장점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경호 대전환경운동연합 정책기획국장은 “갑천지구는 도심 자연생태계의 보고”라며 “희귀종을 포함해 800여종의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어 여기에 아파트를 건립하는 것은 문제가 많다”고 말했다
양흥모 대전충남녹색연합 사무처장은 “대전의 인구 성장이 멈춘 상황에서 갑천지구에 아파트를 대규모로 지으면 결국 원도심의 공동화가 더욱 가속화할 것”이라며 “이는 권 시장이 원도심 개발과 재생이라는 자신의 공약을 파기한 행위나 다름없다”고 주장했다.
대전=정재학 기자 jhjeong@kmib.co.kr
대전 갑천 주변 호수공원·아파트 건설 ‘시끌’
입력 2015-05-22 0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