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법무부 장관이 21일 국무총리 후보자로 지명되면서 하반기 개각 가능성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국회의원과 장관을 겸직하는 인사들 대부분이 내년 4월 총선을 대비해 국회 복귀를 꿈꾸고 있어 하반기 개각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현역 국회의원인 국무위원은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유기준 해양수산부 장관, 유일호 국토교통부 장관, 김희정 여성가족부 장관 등 5명이다. 이들이 내년 4월 총선에 출마하려면 선거일 전 90일인 내년 1월 14일까지 장관직에서 물러나야 한다.
변수는 매해 9월 1일부터 100일 동안 열리는 정기국회다. 국회의원 출신 장관들의 여의도 복귀는 정기국회 전과 후로 나눠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황 부총리와 김 장관은 지난해 7∼8월 각각 장관에 취임해 올여름이면 임기 1년을 채우게 된다. 이 두 사람은 9월 이전 개각을 통해 장관직을 내려놓을 것이라는 시나리오가 제기된다.
친박(친박근혜) 핵심인 최 부총리가 새누리당으로 돌아올 것이라는 데 이견을 다는 사람은 없다. 총선 전 당내에서 친박 구심점 역할을 할 인물이 필요하다는 주장 때문이다. 최 부총리의 경우에는 내년도 예산안 처리까지 마친 12월 중 복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지난 3월 취임한 유기준·유일호 장관의 경우 짧은 임기가 부담이다. 인사청문회 과정에서도 ‘11개월짜리 시한부 장관 아니냐’는 지적을 받았다.
하지만 이런 주장들은 어디까지나 가설일 뿐이다. 인사권을 쥐고 있는 박근혜 대통령이 어떤 선택을 할지는 아직 아무도 모르는 상황이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관련기사 보기]
[새 총리 후보 황교안] 내년 4월 총선 있는데… 5명 의원 겸직 장관들 어쩌나
입력 2015-05-22 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