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6월 기준금리 인상은 물 건너갔다. 일본 중앙은행의 양적완화는 하염없이 지속될 판이다. 각국의 전례 없는 통화완화 조치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이 실종되다시피 해 전문가들 사이에선 “과연 중앙은행들이 물가 목표를 달성하고 완화 정책을 끝낼 수는 있을까”라는 회의감이 커지고 있다.
연준이 20일(현지시간) 공개한 4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록을 보면 위원들 다수가 다음 달 기준금리를 올리기 어려울 것이란 의견을 냈다. 6월 금리 인상이 가능하다고 밝힌 위원도 2명 정도 있었으나, 지난 3월 회의 때보다 줄어든 것이어서 다음 달 금리 인상 가능성은 없어진 것이나 다름없다.
위원들은 최근 미국 경기지표 부진이 일시적 요인 때문인 것으로 진단했다. 다만 일부는 달러 강세로 인한 수출 부진과 저유가에 따른 투자 부진이 예상보다 오래 지속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일본은행이 21∼22일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20개월 만에 경기 판단을 상향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보도했다. 1분기 경제성장률 호조 등에 힘입어 ‘완만한 회복 기조’라는 그동안의 경기 진단보다 긍정적인 평가가 나올 수 있다는 뜻이다.
그러나 물가 목표 달성은 아직 요원하기 때문에 현 통화정책 기조는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로이터통신은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의 ‘증세 없는 재정 긴축’ 기조 때문에 일본은행의 양적완화 정책이 구로다 하루히코(黑田東彦) 총재의 바람보다 길어질지 모른다고 전했다.
영국 투자은행 바클레이스의 외환전략 책임자 마빈 바스는 지난 10년 사이 선진국의 근원물가는 0.46% 포인트, 신흥국은 0.74% 포인트 하락했다며 ‘전 세계적 인플레 실종(global missingflation) 상태’라고 표현했다. 그는 “비전통적 통화정책을 오래 지속하면 시장에 변동성을 더하고 투자자들에게 더 많은 리스크를 안길 것”이라며 “중앙은행들이 ‘인플레의 달인’ 대신 수동적인 방관자로 보이기 시작했다”고 비판했다.
천지우 기자 mogul@kmib.co.kr
美 기준금리 인상 6월엔 안한다… 연준, 지표부진 일시적 판단
입력 2015-05-22 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