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는 미국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THAAD) 한반도 배치를 논의하자고 요청하면 협의에 나설 것이라고 21일 밝혔다. 이에 대해 야당 일각에서는 “사드 한반도 배치가 사실상 현실화 수순을 밟고 있는 것 아니냐”고 해석하고 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현재 미국 정부가 사드를 주한미군에 배치하는 문제에 대해 검토 중인 것으로 안다”며 “검토가 끝나 미국이 우리 정부에 협의를 요청하면 당연히 협의해 간다는 게 우리의 원칙”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김 대변인은 “아직 미국 정부로부터 협의 요청은 오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사드 한반도 배치에 대한 정부의 기존 입장인 ‘미국으로부터 요청도 없었고, 따라서 협의도 없었으며, 결정도 되지 않았다’는 ‘3노(NO)’를 되풀이한 셈이다.
김 대변인은 “사드가 전술적으로 한반도에 도움이 된다는 것은 한민구 국방부 장관이 국회에서 이미 밝힌 바 있다”며 “일각에서 2013년 정부가 사드에 대해 부적합 판정을 내렸다고 주장한 것은 사실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방위사업청 김시철 대변인은 “2013년 4월 말에서 5월 초 방사청에서 사드 제작사인 미국 록히드마틴을 방문, 장거리 지대공미사일(L-SAM) 사업과 관련해 설명을 들었을 뿐 평가를 내린 것은 아니다”고 해명했다. 그는 “지금까지 (록히드마틴사로부터) 사드와 관련된 자료를 공식적으로 받은 것은 없다”고 덧붙였다. L-SAM은 군이 구축하고 있는 한국형 미사일방어(KAMD)체계의 일환으로 사드처럼 고도 40∼150㎞로 날아오는 적 미사일을 요격하는 미사일이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
[관련기사 보기]
“美서 요청하면 사드 협의할 것” 국방부 밝혀
입력 2015-05-22 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