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성공한 총리 되기 위해 黃 후보자가 해야 할 일

입력 2015-05-22 00:57
황교안 법무장관이 21일 새 총리 후보자로 지명됐다. 박근혜 대통령이 심사숙고 끝에 외부 인사가 아닌 현직 각료를 총리(후보자)로 발탁한 배경에는 임기 반환점을 앞두고 ‘변화보다 안정을 꾀할 때’라는 판단이 선 것으로 보인다. 또 하나, 자신이 지명한 총리 후보자 3명이 청문회에 서지도 못하고 낙마했던 아픈 기억을 거울삼아 무난하게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과할 수 있는 후보가 필요했다. 황 후보자는 이 절차를 통과한 경험이 있다.

청와대가 밝힌 인선 이유는 두 가지다. 황 후보자가 ‘부정부패 척결’과 ‘정치개혁’에 적임자라는 설명이다. 황 후보자 전력에 비춰볼 때 전자(前者)의 경우 수긍이 가나 아직 대통령도

이루지 못한 정치개혁을 사실상 정치경력이 전무한 그에게 바라는 건 아무래도 과욕인 듯싶다. 청와대 발표 후 나온 황 후보자의 입장표명에도 정치개혁은 들어있지 않다. 황 후보자가 부정부패 하나만 확실하게 척결해도 성공한 총리로 기억될 것이다.

역시 관건은 인사청문회다. 새정치민주연합의 반응은 매우 부정적이다. ‘공안통치의 노골적 선언’ ‘국민통합에 반하는 불통인사’ ‘총리감이 아니다’는 등 혹평 일색이다. 야당은 황 후보자가 국정원 댓글 사건 수사를 방해하고 헌법재판소의 통합진보당 해산 결정을 이끌어내는 데 주도적 역할을 했다며 파상공세를 예고했다. 법무장관 청문회 때 황 후보자의 병역면제 의혹과 전관예우 논란으로 ‘부적격’ 판정을 내렸고, 두 번이나 법무장관 해임건의안을 냈던 야당이니 새삼스러운 일은 아니다.

총리의 자질과 도덕성을 검증하는 일은 반드시 필요하고, 한 치의 소홀함도 있어선 안 된다. 그러나 지금 야당의 움직임을 보면 청문회가 검증의 무대가 아닌 정치공세의 장으로 흐를 공산이 커 우려스럽다. 미리 ‘부적격’으로 낙인찍고 모든 걸 거기에 꿰맞추는 본말전도 식 공세는 지양해야 마땅하다. 황 후보자가 법무장관 청문회 당시 15개월간 법무법인에 근무하면서 받은 15억9000여만원 중 일부를 기부하겠다고 한 약속을 지켰는지, 개인의 자질과 도덕성에 초점을 맞춰 검증하란 얘기다.

유독 박근혜정부에선 총리 공백이 잦고, 길다. 아무 이유 없이 총리 무용론이 나오는 게 아니다. 이런 비정상은 하루라도 빨리 끝내야 한다. 그런 점에서 황 후보자가 최선은 아니더라도 차선은 될 수 있다고 본다. 그가 법무장관으로 재직하면서 보여준 능력과 리더십은 별로 흠잡을 데가 없다는 게 중론이다. 다음달 중순 박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한다. 국정의 정상화를 위해서도 그 전까지 총리 인준 절차를 매듭지어야 한다. 그러려면 야당은 정략에서 벗어나 국민 눈높이에서 청문회에 임해야 하고, 황 후보자에겐 앞으로 제기되는 의혹들에 대해 적극 해명하는 소통의 자세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