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총리 후보자 지명 초읽기… 대통령 결심만 남았다

입력 2015-05-20 02:26
이완구 전 국무총리 후임 인선이 임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19일 여권에선 새 총리 후보군에 대한 검증 작업은 이미 마무리됐고 남은 건 박근혜 대통령의 최종 결심뿐이라는 말이 나왔다.

지난달 27일 이 전 총리의 사표가 수리된 뒤 이날로 총리 공백은 23일째다. 이 전 총리가 해외순방 중인 박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한 지난달 20일부터 치면 한 달이 다 됐다. 국회 인준 절차 등을 감안하면 박 대통령이 이번 주에 총리 후보자를 지명해도 6월 하순에나 업무 수행이 가능하다. 이런 상황을 감안해 “더 이상 시간을 끌어서는 안 된다”는 시각이 여권 내에 광범위하게 퍼지고 있는 것이다. 다음달 중순 박 대통령의 미국 방문 전 총리 인선을 매듭지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여권 핵심 인사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지난해 정홍원 전 총리가 세월호 참사에 책임을 지겠다며 사의를 표명한 뒤 6개월 동안 후임자를 물색했다”며 “총리 후보자가 어느 날 갑자기 하늘에서 뚝 떨어지는 것도 아니고 그중에서 고르면 된다. 시간을 끌 이유가 없다”고 했다.

차기 총리로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는 후보군은 법조계 인사다. ‘성완종 리스트’ 파문 이후 박 대통령이 여러 차례 고강도 정치개혁을 강조한 만큼 이를 뒷받침할 인물이 행정 각부를 통괄해야 한다는 점에서다. 이른바 ‘스리황’(황우여 사회부총리, 황교안 법무부 장관, 황찬현 감사원장)과 이명재 대통령 민정특보, 이강국 전 헌법재판소장 등이 대상이다. 여기에 조무제 전 대법관, 목영준 전 헌법재판관, 김영란 전 국민권익위원장의 이름도 오르내린다.

김황식 전 총리의 이름도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 한 새누리당 의원은 “한번 총리를 했다는 것 말고는 총리로서 흠잡을 데 없는 사람”이라고 추켜세웠다.

현재 총리 직무대행인 최경환 경제부총리나 이주영 의원 등 정치인 발탁 가능성도 여전히 남아 있다. 단 이들이 내년 4월 총선 출마를 염두에 두고 있다는 점이 걸림돌로 꼽힌다.

차기 총리에게는 개혁성과 도덕성, 청문회 통과 가능성이 동시에 요구되고 있다. 한 여권 인사는 “총리 인선은 대통령 지지율과 직결되는 문제”라며 “청와대가 개혁적인 인물로 승부수를 던지기보다는 청문회를 무난하게 통과할 수 있는 안전한 카드를 선택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전망했다. 다른 인사는 “몇 차례 총리 낙마를 거치면서 검증 기준이 너무 까다로워졌다”며 “안대희 전 대법관이 조금만 더 버텨줬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든다”고 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