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전력 지중화 제동 명품도시 흔들… 기재부, 비용 덜 드는 전봇대 주문

입력 2015-05-20 02:48
정부가 새만금의 전력공급시설 설치 방식을 지중화(地中化)가 아닌 가공선로(송전선로) 방식으로 전환해 새만금 명품도시 건설 계획이 흔들리고 있다.

19일 전북도와 한국농어촌공사에 따르면 새만금 내 농생명용지의 전력시설 지중화를 위해 농어촌공사가 기획재정부에 182억원의 사업비를 요청했지만 57억원으로 조정됐다. 예산안의 68.7%인 125억원이 삭감된 것이다. 전북도 등이 세운 농생명용지 전력수요 계획은 47.3㎞ 구간에 배수문 34개와 교량·공원 40개 등 977㎾다.

기재부는 농어촌공사 측에 전력시설을 땅 밑에 매설하는 지중화 방식보다는 지상에 전봇대를 세우는 방식을 주문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봇대 방식이 지중화 방식보다 공사비가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새만금의 경관 개선은 물론이고 향후 각종 무인헬기 등을 활용한 농작물 재배 과정에서 야기될 안전상의 문제 등을 고려하면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새만금은 겨울철 북서계절풍의 영향을 많이 받은 지역이어서 강풍과 낙뢰 등에 의해 배수장, 배수갑문이 작동하지 않는 등 재난 발생 가능성이 높은 점도 문제가 되고 있다.

게다가 정부는 2011년 새만금 종합개발계획과 2014년 새만금 기본계획상의 ‘에너지공급계획’에서 전력 공급망의 지중화를 명시했다.

전북도는 “기본계획 수립 당시부터 채택된 지중화 방식을 이제 와서 예산 탓을 하며 바꾸려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며 “중장기적인 면에서 효율성이 더 높고 새만금을 명품으로 만들기 위해서도 반드시 지중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