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18일 광주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5·18민주화운동 35주년 기념식에 나란히 참석했다. 두 대표는 별다른 대화는 나누지 않았지만, 제창 불허로 논란이 된 ‘임을 위한 행진곡’을 함께 불렀다.
김 대표는 이정현 최고위원, 김학용 대표비서실장 등 여당 의원들과 함께 자리에서 일어나 임을 위한 행진곡을 따라 불렀다. 하지만 태극기를 흔들지는 않았다. 반면 정부 대표로 참석한 최경환 총리대행과 박승춘 국가보훈처장은 함께 자리에서 기립했지만 노래가 끝날 때까지 입을 굳게 다문 채 듣기만 했다. 정부의 ‘제창 불허’ 방침을 그대로 따른 것이다.
문 대표는 이종걸 원내대표 등 새정치연합 의원들과 함께 정부의 제창 불허에도 태극기를 흔들며 힘차게 따라 불렀다.
김 대표와 문 대표는 그러나 별다른 대화는 나누지 않았다. 김 대표는 문 대표와 나눈 이야기에 대해 질문받자 “어젯밤 상황에 대해 얘기했다”고 말했다. 이어 “다른 얘기를 해보려고 하다 추모식 분위기에서 다른 얘기를 하는 게 좋지 않은 것 같아 안 했다”고 설명했다.
두 대표 모두 5·18민주화운동의 의미를 부각시키면서도 강조점에는 차이가 났다. 김 대표는 “국민 통합이 제일 중요한 문제이고 우리 정치인들에게 주어진 최고의 의무인데 5·18만 되면 분열되는 것 같은 상황이 돼 마음이 아프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분명한 것은 (전날 전야제에서 일부 시민의 항의가) 광주시민의 뜻은 아니라는 생각을 또 같이 하고 있다”며 “5·18 행사는 5·18 행사로 끝나야지 다른 것으로 변질돼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문 대표는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5·18을 기념하는 국가 행사가 올해도 반쪽짜리로 치러진 것이 무척 안타깝다”며 “박근혜정부는 5·18의 위대한 역사를 지우려 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북한과 관련시켜 5·18을 이념적으로 가두고 또 지역적으로 고립시키려 한다”며 “5·18의 위대한 역사를 지키는 게 민주주의를 지키는 길이라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
金 “5·18만 되면 분열… 안타깝다”-文 “朴정부, 위대한 역사 지우려 해”
입력 2015-05-19 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