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외교장관회담] “과거에서 일어나 인접국가와 더 나은 관계 구축하라 美는 일본에 얘기하고 있다”

입력 2015-05-19 02:30
박근혜 대통령이 18일 청와대를 방문한 존 케리 미국 국무부 장관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박 대통령이 케리 장관을 접견한 것은 지난해 2월 이후 1년3개월 만이다. 연합뉴스

존 케리 미국 국무부 장관은 18일 한·미 외교장관회담에 이어 열린 공동 기자회견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의 과거사 인식 문제에 대한 집중적인 질문 공세를 받았다. 케리 장관은 “우리(미국)는 일본에 ‘과거에서 일어나 좀 더 나은 인접국과의 관계를 구축하라’고 얘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음은 그와의 일문일답.

-박근혜 대통령,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일본에 대해 얘기했나.

“당연히 일본에 대해 대화를 나눴다. 우리(미국)가 이 지역에서 맡은 역할을 잘 알고 있다. 미국의 가장 가까운 동맹국인 한·일의 긴장 완화를 위해 한·미·일 3국 회의를 주선하고 있다. 양국의 건설적 관계는 미국에도, 이 지역 평화와 번영을 도모하는 데도 가장 중요하다.”

-현영철 북한 인민무력부장 숙청과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의 리더십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지도자(김 제1비서)와 가까웠던 사람을 말도 안 되는 핑계로 숙청한다. 세계는 지금 점점 더 끔찍한, 잔인한 얘기를 듣고 있다. 결국 (김 제1비서가) 북한 사람들에게 가능성과 기회를 주지 않고 이렇게(현 부장을 처형한 것처럼) 한다는 건 북한이 세계에서 가장 인권·인간존엄성이 없는 나라임을 보여준다. 그래서 유엔은 인권 문제를 국제사법재판소 회부 사안으로 보는 거다.”

-미국이 대화와 협상 위주로 대북정책의 방향을 수정할 계획이 있나.

“북한의 비핵화 문제에 대해 국제사회가 이렇게 단결한 적이 없다. 대화를 위한 대화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내가 만난 모든 분이 (대화가 아닌) 다른 길을 제시하려 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초청해도 김 제1비서가 거부했고, 중국 지도부가 (북핵 문제로) 얘기하려 해도 거부했다. 이 사람(김 제1비서)은 합리적 방법을 찾으려는 손을 다 거절했다. 제재 조치라든지 다른 수단을 통해 북한을 설득하는 게 우리의 방향이다.”

-그럼 현재 미국의 대북정책 지향점은 뭔가.

“우리는 갈등을 추구하지 않는다. 평화적 해결을 추구한다. 정상적인 관계, 정상적인 경제 지원 등 다른 나라에 했던 협력을 (북한에) 제시했다. 대화 테이블에 나와 핵 협상을 하면 된다고 했는데, 김 제1비서의 방향은 이란과 상당히 다르다. 국제 규범에 맞게 (북한이) 편입돼야 한다.”

-대북 제재 조치 강화를 시사했는데 어떤 압력을 가하려고 하나.

“북한의 행동은 점점 더 유엔 안보리의 감시를 받게 될 것이라는 의미다. 이래야 한다, 저래야 한다고 말한 건 아니다. 다만 (북한) 행동이 (더) 나빠진다면 궁극적으로 그 방향(추가 제재)으로 나갈 수밖에 없다. 그 목적으로 내가 이곳에 왔다.”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SLBM) 개발 문제에 대해선 어떤 생각인가.

“유엔 (안보리) 등 다른 모든 국제 기준에 어긋나는 것이다. 또 하나의 도발일 뿐이다. (탄도)미사일 시스템이라든지, 핵 개발은 상당히 위험한 방향이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