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창업굴기… 중국 정부가 나서 “創業” 외쳐

입력 2015-05-19 02:41

한때 ‘짝퉁 천국’이란 불명예를 안았던 중국이 ‘창업대국’으로 거듭나고 있다. 고도 성장기를 끝낸 중국은 중속성장(7% 전후)을 의미하는 ‘신창타이(新常態)’ 시대에 진입하면서 정부가 ‘대중창업, 만중혁신(大衆創業, 萬衆創新)’을 새로운 국정지표로 내세우고 창업을 적극 독려하고 있다. 사회적으로 창업에 유리한 생태계를 조성해 기업 수를 늘리고 새로운 기술과 제품, 시장을 적극 창출해 진정한 경제대국이 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한국무역협회 베이징지부가 18일 내놓은 ‘중국경제의 새로운 모멘텀, 창업대국’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에서 지난해 창업한 일반기업 수는 365만개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하루에 무려 1만개의 기업이 새롭게 탄생한 셈이다. 연도별 순증기업 수(창업 수-폐업 수)도 최근 3년 사이 연평균 60.5%씩 늘어났다. 2014년에는 순증기업 수가 전년보다 80.7% 증가한 291만개에 달해 폭증 추세를 보였다. 창업 열풍은 특히 서비스 분야에서 거세다. 지난해 중국 창업기업 중 3차산업(서비스업) 기업이 287만개로 전체의 78.7%를 차지했다.

보고서는 중국의 폭발적 창업 증가는 전자상거래 시장의 확대, 귀국 유학생의 창업, 외국기업의 지속적인 투자 확대 등에서 비롯된다고 밝혔다. 중국 내 귀국 유학생 창업단지 수는 2006년 말 110개에서 2013년 말 280개로 2.5배 이상 증가했다. 또 중국의 전자상거래 시장도 매년 20∼30%씩 확대되면서 2014년 중국의 모바일 메신저인 웨이신(WeChat)을 통한 쇼핑몰 수가 1000만개에 달했다. 2015년에는 5000만개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중국에 대한 외국인 투자는 매년 1000억 달러를 넘어서 이에 따른 기업 수도 매년 2만∼3만개 이상 늘고 있다.

중국은 각종 제도 정비를 통한 창업 지원에 적극적이다. 최근에는 회사법 개정을 통해 최저자본금 제도와 현금출자비율을 폐지했다. 창업을 위한 제출 서류도 기존의 절반 정도인 13가지로 줄이면서 창업 소요기간을 1개월에서 3일로 단축했다. 하이테크 산업에 속하는 유학생 기업에 대해 기업소득세를 감면하고 일부에서는 정착비도 지원하고 있다.

고속성장 시대를 지난 중국은 취업난 해소와 경제 활성화를 위해 창업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경제계에서는 청년실업과 일자리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한국도 중국의 창업 열풍을 눈여겨봐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창업이 활성화되면 청년실업 극복 및 경기 활성화 등 긍정적인 선순환 효과를 가져 올 수 있기 때문이다. 재계 관계자는 “국내에서도 젊은이들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창업에 도전하도록 독려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고, 정부에서는 창업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각종 제도를 마련하는 데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