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이젠 K-서비스”… 뷰티·화장품, 간판산업으로

입력 2015-05-18 02:46

정부가 국내 서비스 산업의 해외 수출에 본격적으로 팔소매를 걷어붙였다. 저성장 국면을 탈피하고 청년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서는 제조업 중심의 경제구조를 서비스 산업 중심으로 바꿔야 한다는 판단이 작용했다. 그 중심엔 ‘화장품·뷰티 서비스’가 설 계획이다.

17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현재 ‘K-서비스 글로벌화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어떤 서비스업을 어떻게 해외에 내다 팔 것인지를 따져보고 있는 것이다.

국내 서비스를 외국으로 직접 수출하는 ‘아웃바운드’와 외국인 관광객·유학생 등을 한국으로 유치하는 ‘인바운드’로 나눠 추진한다. 현재 정부가 중점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는 아웃바운드 분야는 ‘화장품·뷰티 서비스’다. 현재 국내 화장품 시장이 중국인을 중심으로 급팽창하고 있다는 점에서 뷰티 서비스도 해외에 진출할 수 있는 발판만 마련해 주면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본 것이다. 정부는 뷰티 업계 종사자들에게 해외 진출 절차나 관련 정보 등을 제공해 서비스 수출을 돕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 있다. 자격증 제도를 도입해 이들의 실력을 검증해주는 방안도 고려 중이다. 기재부는 지난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화장품·뷰티 업계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열고 이런 내용에 대해 논의했다. 이 밖에 해외 병원 건설, 해외 리조트 개발, 방송·디자인 콘텐츠 수출 등이 검토 대상이다. 정부는 한국의 서비스 산업이 해외에서 경쟁력을 갖추려면 ‘한류’를 지속시키는 것이 관건이라고 보고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국내 화장품 업계가 급성장한 것도 중국인들 사이에서 국내 여배우들의 미모가 한국 화장품 덕택이라는 인식이 깔려 있기 때문”이라며 “한류를 어떻게 지속시키느냐가 서비스 수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인바운드 분야의 핵심은 의료 관광 분야다. 국내 치료를 받으러 온 환자들에게 각종 서비스를 제공해 외화를 벌어들이겠다는 것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제조업에 의존하는 경제구조로는 더 이상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다”며 “다음 달까지 마무리하는 것을 목표로 관계 부처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서비스 산업이 활성화되면 청년 일자리를 확보하는 데도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한다. 요즘 청년들이 제조업보다 서비스업에 관심이 많을 뿐만 아니라 제조업은 대외 변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일자리 창출이 들쑥날쑥이다. 문제는 국회에서 가로막혀 있는 ‘서비스산업발전 기본법’이다. 정부는 2012년 9월에도 서비스 산업 육성이 시급하다고 보고 서비스 기본법을 발의했다. 여기엔 기재부에 서비스산업선진화위원회를 두고 5년마다 ‘서비스산업발전기본계획’을 수립해 중점사업에 대해 각종 규제 완화와 세제 및 자금 지원을 해준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그러나 야당이 “의료·교육 등 공공영역을 민영화하기 위한 빌미”라며 반대하면서 여전히 국회 기재위 소위에 계류 중이다.

세종=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