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다탄두 ICBM(대륙간 탄도미사일)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탄두 ICBM은 과거 냉전시대 미국과 소련 간 군비경쟁의 상징처럼 여겨졌던 무기다. 미국 전문가들은 중국이 장기적으로 미국과의 핵무기 경쟁을 염두에 두고 다탄두 미사일을 개발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미 국방부는 지난 8일(현지시간) 미 의회에 보낸 연례보고서에서 “중국이 최첨단 ICBM인 ‘둥펑(東風)5’ 20기를 개발해 지하격납고에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6일 보도했다. 미 핵무기 전문가들은 둥펑5 중 최소 10기가 다탄두를 탑재할 수 있는 ICBM으로 업그레이드됐다고 분석했다. 이 분석이 맞는다면 중국이 미국으로 발사할 수 있는 핵탄두는 종전 20개에서 40개로 배 늘어난다. 중국은 지난해 몇 차례 다탄두 미사일 실험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으나 실제 다탄두 ICBM 개발에 성공하고 실전배치한 사실이 드러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의 이전 ICBM은 미사일 1기당 핵탄두를 1개 탑재할 수 있는 구조였다. 그러나 다탄두 미사일은 미사일 한 개가 서로 다른 목표와 궤도를 가지는 핵탄두를 날릴 수 있어 미사일 수를 늘리지 않고도 핵전력을 단숨에 배가시킬 수 있다.
현재 미국과 중국의 핵탄두 보유 수를 비교하면 대략 8대 1 정도로 미국이 압도적 우위를 점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이 다탄두 핵미사일을 가지면서 핵무기 경쟁의 열세를 다소 만회할 수 있게 됐다고 전문가들은 진단했다. 중국은 최소 20년 전부터 다탄두 미사일 기술을 갖고 있었으나 ‘경제성장에 주력하고, 군비경쟁에 뛰어들지 않는다’는 게 그동안 공식적인 입장이었다.
미국은 중국 측에 다탄두 미사일 개발에 나선 이유를 물었으나 공식적인 회담에서 이를 안건으로 삼기를 원치 않았다고 미 정부 관계자들은 설명했다고 NYT는 전했다. 부시행정부 시절 안보보좌관을 지낸 애슐리 텔리스 카네기평화재단 선임연구원은 “중국은 오랫동안 미국의 핵 우위를 두려워하고 있었다”며 “다탄두 미사일 개발은 장기적으로 미국과의 경쟁을 염두에 둔 것이 명백하다”고 분석했다.
이로써 중국이 시진핑 국가주석의 등장 이후 소극적인 핵 억지력 보유에 그칠 것이라던 기존 중국 지도자들의 전략과는 다른 선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NYT는 진단했다. 또 중국의 다탄두 미사일 보유로 미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미사일방어방 구축 전략도 영향을 받게 될 것으로 신문은 전망했다.
전석운 기자 swchun@kmib.co.kr
“中, 다탄두 ICBM<대륙간 탄도미사일> 10기 보유”… 美 국방부 “실전 배치” 밝혀
입력 2015-05-18 02:16